logo
“국산 방폭로봇 실전배치”…한화에어로스페이스, 방위사업청과 첫 대량 양산 계약
정치

“국산 방폭로봇 실전배치”…한화에어로스페이스, 방위사업청과 첫 대량 양산 계약

문경원 기자
입력

국산 방폭로봇 전력화 작업을 두고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방위사업청이 협력에 나섰다. ‘폭발물 탐지제거로봇’ 양산 계약이 체결되면서 국내 방위산업의 기술력과 국방 자동화 전략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2천700억원 규모의 대형 계약이 이뤄졌으며, 이번 계약은 국내 최초의 국방 로봇 체계 양산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8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방위사업청과 총 2천700억원 규모의 폭발물 탐지제거로봇 양산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계약 대상 로봇은 원격 조종 방식으로 지뢰와 급조폭발물(IED)을 신속하게 탐지·제거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360도 방향 작동이 가능한 집게 조작팔에 감시장비를 탑재했고, 작전 상황에 맞춰 X-레이 투시기, 지뢰탐지기, 무반동 물포총, 산탄총, 케이블 절단기, 유리창 파쇄기 등도 장착할 수 있다.

기존에는 지뢰나 급조폭발물을 수작업으로 탐지·제거하면서 장병들이 직접 위험에 노출됐으나, 관련 로봇이 실전 투입되면 인명 피해 감소와 자동화 전환의 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금까지 외국산 장비가 일부 도입됐으나, 수량 부족 등 지속적 어려움이 있었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방위사업청은 지난 2017년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함께 폭발물 탐지제거로봇 개발에 착수했으며, 2023년 체계 개발을 마무리했다. 해당 로봇 양산은 국산 국방 로봇의 전력화 역사의 첫 기록이라는 점에서 방위산업계와 군 내부의 기대감을 모으고 있다. 이번 계약을 통해 한화에어로스페이스도 국내 방위 로봇 제조의 본격적 출발선을 넘게 됐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관계자는 "정부와 협력해 무인화 기술 역량을 집약했다"며 "대한민국 국방력 강화와 함께 해외 시장 진출까지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군 당국은 실제 실전 운용과 후속 양산을 통해 국방력 혁신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방위사업청도 로봇 적용 범위 확대와 추가 성능개선을 검토 중이다. 정치권과 군은 향후 국산 전투 무인로봇 개발의 가능성과 수출 잠재력에도 주목하고 있다.

문경원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한화에어로스페이스#방위사업청#폭발물탐지제거로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