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원 주권 시대 강화”…더불어민주당, 1인1표제 당원투표서 찬성 86.8%
당내 권한 배분을 둘러싼 갈등과 개혁 요구가 맞붙었다. 더불어민주당이 당대표와 최고위원 선출 방식에 1인 1표제를 도입하는 당헌·당규 개정안을 놓고 당원투표를 실시한 결과, 찬성이 80%를 훌쩍 넘기며 당권 구조 개편에 속도가 붙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11월 20일 저녁 당원투표 결과를 발표하고, 당대표 및 최고위원 선출 시 대의원과 권리당원 표의 가치를 동등하게 하는 1인 1표제가 찬성 86.8%, 반대 13.2%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투표는 11월 19일부터 20일까지 이틀 동안 진행됐다.

당은 다음 지방선거에서 광역·기초의원 비례대표 후보자 선출 방식을 지금의 각급 상무위원 투표에서 권리당원 100% 투표로 바꾸는 안도 함께 물었다. 이 안건은 찬성 88.5%, 반대 11.5%로 의사 표현이 이뤄졌다.
후보자가 4명 이상일 때 권리당원 100% 투표로 예비 경선을 치르는 방안 역시 높은 지지를 얻었다. 권리당원 전원 참여 방식 예비 경선은 찬성 89.6%, 반대 10.4%로 집계돼, 경선 과정에서의 당원 영향력 확대 방향에 힘을 실었다.
투표에는 대상자 164만5천여명 가운데 27만6천589명이 참여했다. 참여율은 16.8%로 나타났다. 당 안팎에서는 절대 참여율이 높지 않다는 지적과 함께, 참여자 중 찬성률이 압도적이라는 점에 주목하는 시각이 교차하고 있다.
이번 당헌·당규 개정안은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전당대회 과정에서 내세운 당원 주권 시대 구상의 핵심 축에 해당한다. 정청래 대표는 당권과 공천 과정에 권리당원 권한을 확대하겠다고 수차례 강조해 왔다.
당 지도부는 당원투표 결과를 토대로 당무위원회와 중앙위원회 의결 절차를 밟을 계획이다. 개정안은 이들 회의에서 통과될 경우 당원 주권 강화 방향으로 최종 확정될 전망이다.
정치권에서는 민주당의 제도 변경이 내년 지방선거와 이후 전국 단위 선거에서 공천 방식과 계파 구도에 영향을 줄 것이란 관측이 제기된다. 다만 대의원 중심 구조를 선호해 온 일부 당내 세력과의 추가 논쟁 가능성도 거론된다.
민주당은 당무위원회와 중앙위원회 논의를 거쳐 구체 시행 시점을 조율하겠다는 입장이다. 국회와 정치권은 민주당의 당헌·당규 개정 흐름이 다른 정당의 당내 민주주의 논의로까지 이어질지 주시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