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9월로 미룬 UFS 한미 야외훈련, 실제 시행은 5건”…강대식, 연기된 훈련 진행 속도 지적

김다영 기자
입력

한미연합훈련 ‘을지 자유의 방패’(UFS) 야외기동훈련 연기가 정치권의 비판으로 이어지고 있다. 지난 8월 실시 예정이었던 FTX 20여건 가운데 5건만 지난달 실제로 시행됐다는 사실이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강대식 의원을 통해 확인됐다. 군 당국이 훈련 연기 배경으로 내세웠던 폭염 외에도, 북한의 강경한 반발을 의식했다는 해석이 나오면서 향후 한미연합훈련 일정과 한반도 방위 전략 전반에 대한 논란이 가중되고 있다.

 

14일 강대식 의원실이 합동참모본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 UFS 연습기간 중 폭염 등 사유로 연기된 한미 야외기동훈련 20여건 가운데 실제로 시행된 것은 5건에 머물렀다. 합참은 남은 훈련들에 대해 “정상 실시 중이며, 한미 일정 등을 고려해 연말까지 모두 수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국방부는 13일 국정감사에서 “FS 및 UFS 기간에는 연습 상황과 연계한 연합훈련에 집중하고, 소부대 전투기술 및 주기적 반복훈련은 연중 균형 있게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한미연합훈련 UFS는 지휘소연습(CPX)과 야외기동훈련(FTX)으로 구성되며, 이번 UFS 연습에선 약 40여건의 FTX 중 절반가량이 9월 이후로 연기된 바 있다.

 

합참은 “연합 야외기동훈련 중 조정한 훈련은 정상 진행되고 있다”며, 후반기 내 순차적으로 계획을 마무리할 방침을 강조했다. 다만 현장에서는 실질적 훈련 진행률이 저조하고, 추가 연기 가능성 또한 배제할 수 없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한편 일각에서는 당시 극심한 폭염이 주된 연기 사유로 제시됐으나, 한미훈련에 대한 북한의 민감한 반응을 고려한 결정 아니냐는 평가도 잇따르고 있다. 전문가들은 대외적으로는 기상 여건을 내세웠지만, 실제로는 한반도 정세 및 남북관계에 미칠 파급력을 감안한 전략적 조정이 있었다고 분석하고 있다.

 

정부와 군은 미이행 야외훈련들을 연말까지 마칠 계획임을 재확인했다. 정치권은 연합훈련 실시 속도와 한미동맹의 신뢰 강화를 둘러싼 책임 소재를 두고 추가 공방이 예상된다.

김다영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강대식#한미연합훈련#uf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