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계엄 관여 정황 수사 확대”…내란특검, 김건희특검 압수수색 강행
12·3 비상계엄 선포를 둘러싼 내란·외환 혐의를 놓고 특별검사 수사팀과 전직 대통령 측 핵심 인사가 정면 충돌했다. 조은석 특별검사가 이끄는 내란 관련 특별검사팀이 김건희 여사의 계엄 관여 의혹을 겨냥해 김건희특별검사팀을 상대로 압수수색영장을 집행하면서 수사가 새 국면으로 접어들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25일 법조계에 따르면 조은석 특별검사팀은 김건희 여사의 휴대전화 내역 등 관련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법원으로부터 압수수색영장을 발부받아 24일 김건희특별검사팀에 집행했다. 내란특검팀은 김 여사 관련 자료를 제출받는 방식으로 영장을 집행한 것으로 전해졌다.

내란특검팀은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의 계엄 가담 혐의를 수사하는 과정에서 김건희 여사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행위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한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내란특검은 이러한 정황을 추가로 검증하기 위해 김건희특검이 확보하고 있는 자료에 수사 범위를 넓힌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특검팀은 김건희 여사가 2024년 5월께 박성재 전 장관에게 자신의 검찰 수사와 관련된 메시지를 보냈다는 진술과 자료에 주목하고 있다. 이 메시지는 이원석 전 검찰총장이 대통령실로부터 사퇴 요구를 받은 직후, 이에 반발하는 취지에서 김건희 여사에 대한 신속한 수사를 검찰 수사팀에 지시했고, 이후 검찰 수사팀 지휘부 인사가 단행됐다는 내용의 이른바 지라시였던 것으로 전해졌다.
법조계 안팎에서는 해당 메시지를 두고 박성재 전 장관이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와 긴밀히 소통하며 김건희 여사의 사법 리스크 방어 필요성을 공유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돼 왔다. 내란특검팀은 이 대목이 12·3 비상계엄 선포를 둘러싼 권력 내부 인식 구조를 보여주는 단서가 될 수 있다고 보고 수사를 이어가는 모습이다.
내란특검팀은 또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등 김건희 여사가 연루된 사법 리스크 방어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계엄 선포 동기 중 하나였을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특검팀은 내부적으로 박성재 전 장관 역시 이러한 인식에 공감했을 가능성을 의심하면서, 계엄 관련 의사결정 과정에서 사법 리스크가 영향을 미쳤는지 규명하기 위해 통신자료와 메시지, 보고라인 등을 교차 검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내란특검의 수사 확대와 관련해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 측은 정치적 의도가 개입된 수사라는 취지의 강경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김건희특별검사팀 역시 영장 집행 과정에서 확보된 자료의 범위와 활용 방식에 대해 법적 검토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져, 두 특검팀 간 수사 공조와 갈등이 향후 쟁점으로 떠오를 가능성도 제기된다.
정치권에서는 내란특검의 이번 강제 수사에 대한 공방이 거세질 조짐을 보이고 있다. 여권 일부에서는 전직 대통령을 겨냥한 과잉 수사라는 시각을 내놓고 있는 반면, 야권에서는 사법 리스크와 계엄 선포 동기 사이의 연관성을 끝까지 규명해야 한다며 특검 수사를 압박하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김건희특검이 보유한 자료에까지 손을 뻗치면서 12·3 비상계엄 수사는 권력 핵심부를 향해 한층 더 다가선 모양새다. 향후 내란특검은 확보한 통신기록과 메시지 분석을 토대로 관련자 소환 조사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며, 국회와 정치권은 특검 수사 진척 상황을 두고 한동안 치열한 공방을 이어갈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