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유출 갈등”…삼성바이오, 노조와 해결책 협의 나섰다
삼성바이오로직스에서 불거진 임직원 개인정보 유출 사태가 업계의 주목을 받는 가운데, 회사 경영진과 노동조합 간 첫 공식 대화가 이뤄졌다. 고과와 승격과 관련된 비공개 정보, 일부 개인정보가 접근 권한이 없는 직원들까지 열람할 수 있도록 노출된 사실이 확인되면서, 데이터 관리 체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 11일 존 림 대표와 박재성 상생지부 지부장이 직접 면담을 갖고 문제 해결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사태는 최근 IT·바이오 업계에서 정보보호와 내부 통제의 중요성이 재차 강조되는 계기가 됐다. 회사는 지부 요구사항을 청취하는 한편, 다수의 사안을 한 번에 다루기보다는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협의를 통해 해결책을 모색할 것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개인정보와 인사 정보가 외부 유출이 아닌 내부 시스템 내에서 일부 직원들에게 잘못 노출된 점에서, 정보 관리 프로세스의 정교함과 임직원 데이터 접근권한 통제 필요성이 다시 부각됐다. 최근 글로벌 제약 및 바이오 기업들도 내부 데이터 보호 체계 강화를 산업 생존 조건으로 내세우는 추세다. 미국, 유럽 등에서는 GDPR 등 정보보호 규정 위반 시 기업이 막대한 리스크에 노출될 수 있다는 경고가 잇따르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사례 역시 관련 데이터법과 산업안전 기준에 따른 내부 조사, 개선조치가 병행될 전망이다. 사측은 사내 커뮤니케이션과 노사 협의를 지속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업계 전문가들은 “개인정보 유출은 기업 신뢰의 근간을 흔드는 사건인 만큼, 재발 방지책 마련과 강력한 정보보호 전략이 산업계 전반의 화두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산업계는 개인정보 보호와 기업 경영의 조화, 노동자 권리와 데이터 활용의 균형이 바이오산업 신뢰 회복의 열쇠가 될지 주시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