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간호사 50% ‘폭언·갑질’ 경험”…인권 사각지대, 인력 이탈 가속

윤가은 기자
입력

국내 의료 현장 간호사의 절반 이상이 직장 내 인권침해를 겪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간호협회가 전국 788명 간호사를 대상으로 실태조사한 결과, 최근 1년 사이 인권침해 경험 비율이 50.8%에 이르렀다. 간호사들은 폭언(81.0%), 직장 내 괴롭힘·갑질(69.3%)을 주요 피해 유형으로 지목했으며, 가해자는 선임 간호사(53.3%), 의사(52.8%), 환자와 보호자(43.0%) 순으로 집계됐다.  

 

특히, 인권침해의 79%는 환자나 보호자 등이 직접 목격하는 공개 공간에서 발생했다. 이는 의료·바이오 산업 내 전문가에 대한 직업적 존중과 안전 보장이 미흡한 실태를 드러낸다.  

만성적 인력 부족이 인권침해의 근본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다. 조사 응답자 중 65.3%가 휴직이나 퇴직을 고려했다고 답했고, 43.5%는 직종을 아예 변경하려 고민했다고 밝혔다. 과도한 업무와 교대근무, 조직 내 위계 문화 등이 폭언과 괴롭힘을 악순환으로 만들고 있다는 지적이다.  

 

피해 이후 실질 대응은 여전히 미흡한 상황이다. 인권침해를 경험한 간호사 10명 중 7명(71.8%)은 아무런 대응조차 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공식적인 신고 절차를 밟은 경우는 15%에 불과했으며, 이들 대부분도 ‘기관 내 변화가 없었다’고 답해 현행 제도와 보호 조치가 실효성을 잃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글로벌 바이오 인력 시장에서는 전문 간호인력의 정착과 직업 안정성이 경쟁력 요소로 평가된다. 미국·유럽 등은 직장 내 괴롭힘을 법적으로 규정하고 예방 프로그램을 도입했으나, 국내는 피로 누적 등 감정노동에 대한 제도적 대응이 미흡하다.  

 

업계와 전문가들은 인재 이탈을 막기 위해 인력 충원, 직장 내 인권문화 개선, 법적 처벌 기준 정비가 시급하다고 지적한다. 응답자들이 꼽은 최우선 개선 과제 역시 근무환경 개선(69.3%)과 법 제도 정비·처벌 강화(57.5%)로 나타났다.  

 

간호협회 측은 "인력 확충 없이는 인권침해 문제의 근본적 해결이 어렵다"며 종합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전문가들은 "조직 문화를 바꾸고 감정노동 완화 프로그램과 심리상담, 리더십 교육 등이 함께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의료·바이오 업계에서는 이같은 조직문화 개선과 인력 정책이 실제 시장 경쟁력의 기반이 된다는 시각이 커지고 있다. 산업계는 이번 인권침해 실태가 개선책 마련과 실행으로 이어질지 주목하고 있다.

윤가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대한간호협회#간호사#인권침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