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AI 에이전트 도입 후 생산성 35%↑”…뤼튼AX, 실증 리포트로 업무 효율 제시

서윤아 기자
입력

국내 인공지능 전환(AX) 전문 기업 뤼튼AX가 AI 에이전트 도입 이후 업무 생산성이 큰 폭으로 개선됐다는 자체 보고서를 15일 발표했다. 다양한 기업 및 기관의 디지털 전환 움직임에 실질적인 참고자료로 활용될 전망이다.

 

뤼튼AX는 실제 사내에서 AI 기반 업무자동화 에이전트를 적용한 성과를 집중 분석한 ‘AX 리포트 2025’를 공개했다.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고객 상담, 재무, 프론트엔드·백엔드 개발 등 4개 분야에서 노동 시간이 최대 73% 단축되고, 생산성은 15~35%까지 향상됐다. 예를 들어, 고객 상담 에이전트는 응답 자동화 기술과 시스템 연동으로 노동 시간을 73% 줄이고 생산성은 35% 올렸다. 재무 부문도 자동화 도입으로 노동 시간 40% 감소, 생산성 21% 개선 효과를 거뒀다.

출처=뤼튼
출처=뤼튼

뤼튼AX가 자체 개발한 ‘뤼튼 AI 생산성 지수’ 역시 이번 리포트에 담겼다. 이 지표는 AI 활용에 따른 실효성 측정의 기준이 부족하던 업계에 객관적 데이터로 주목받고 있다.

 

국내외 기업들은 이같은 AI 기반 업무 자동화가 전사적 생산성 혁신으로 이어질지 관심을 높이고 있다. 전문가는 "AI 도입만으로는 한계가 있는 만큼 실제 현장 사례와 데이터 기반의 성과가 매우 중요하다"며 "생산성 지수 등 객관적 기준에 힘입어 경험적 도입 확산이 기대된다"고 평가했다.

 

한편, 뤼튼테크놀로지스는 전사적 AI 전환을 목표로 사내독립기업(CIC) 형태의 뤼튼AX를 출범시킨 바 있다. 당분간 디지털 전환에 나서는 타 기업의 벤치마크 자료로 리포트가 활용될지 주목된다.

 

향후 정책 방향은 기업의 업무 효율성, AI 활용 인프라 확장 등 주요 혁신 지표 흐름에 좌우될 전망이다.

서윤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뤼튼ax#ai에이전트#생산성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