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KT 소액결제 사고 전액 보상”…김영섭 대표, 재발 방지책 약속
IT/바이오

“KT 소액결제 사고 전액 보상”…김영섭 대표, 재발 방지책 약속

허예린 기자
입력

최근 발생한 KT 소액결제 해킹 사고가 통신 산업의 신뢰성과 보안 대책을 다시 한 번 조명하고 있다. 김영섭 KT 대표는 11일 서울 광화문 사옥에서 공식 기자간담회를 열고 “피해 고객에 대한 100% 보상”과 “재발 방지책 마련”을 전면에 내세웠다. 해당 사고는 특정 지역 KT 가입자를 상대로 한 무단 소액결제 시도로 촉발됐으며, 지난 8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관련 침해 사실이 보고된 이후, 신속히 관계 당국과 원인 규명에 착수한 상태다.  

 

KT는 사내외 인력과 기술을 총동원해 추가 피해 차단을 위한 실시간 감시 체계를 강화했다. 피해 고객 대상 전액 보상에 더해, 개인정보 유출 및 2차 부정 결제의 우려를 막기 위한 보안 인증 절차도 대폭 강화하고 있다. 이전과 비교해 소액결제 승인 프로세스에서 이상 탐지(Anomaly Detection) 및 다중 인증 방식 도입 등 다층적 대응 체계가 강조된다.  

이번 사건은 통신사의 결제 플랫폼이 직접 국민의 재산 피해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파급력이 크다. 사용자 편의성과 안전을 모두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실시간 침해 탐지, 거래 내역 모니터링, 데이터 암호화 등 다각도의 정보보호 체계가 필수다. KT는 소액결제 시스템 내 부정 이용 정황을 최초 인지한 이후, 내부 조치와 더불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경찰과 공동 조사를 이어가고 있다.  

 

해외 사례를 보더라도 모바일 결제 및 통신사 기반의 소액결제 서비스는 꾸준한 해킹 시도가 이어지는 분야다. 미국, 유럽 일부 국가는 거래 단위 당 추가 인증, 사용 한도·지역 기반 차단 등 예방 규제를 병행하고 있다. 국내 통신사 역시 사고 후 구조를 바꿔 정보보호 인증을 강화하는 추세다.  

 

전문가들은 “통신 인프라와 결제 기능이 결합된 플랫폼은 해킹 위험을 상시 관리해야 하며, 이번 사고를 계기로 전체 산업의 정보보호 수준을 끌어올릴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산업계는 이번 KT 사고가 실제 소액결제 시장의 신뢰 문제와 맞물려 향후 신속한 보안 강화 조치 및 고객 보호 체계 혁신으로 이어질지 주시하고 있다. 기술과 신뢰, 제도의 균형적 대응이 재발 방지의 관건이 되고 있다.

허예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김영섭#kt#소액결제피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