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동맹 현대화·北비핵화 공동의지”…조현·루비오 장관, 역내 협력 강화 시동
북한 비핵화와 동맹 현대화를 두고 한미 양국이 다시 맞붙었다. 7월 31일(현지시간) 워싱턴DC 국무부 청사에서 열린 한미 외교장관 회담에서 조현 외교부 장관과 마코 루비오 국무부 장관은 핵심 안보 현안부터 경제·기술 협력, 지역 정세까지 논의하며 정국 격랑을 예고하고 있다.
이날 회담에서 두 장관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공동 목표를 재확인했다. 외교부와 미국 국무부 모두 "한미동맹이 한반도와 역내 평화, 안정, 번영의 핵심 축임을 재확인했다"며 양국이 동맹 현대화 필요성에 의견을 모았다고 밝혔다. 특히 한미동맹의 역할은 북핵 대응을 넘어 인도태평양 지역, 나아가 대중국 견제 차원에서 더 넓은 의미를 지니게 됐다.

보도자료에 따르면 양국 장관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와 국제 제재의 완전한 이행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재확인하고, 북한과 러시아의 군사 협력 증가에 중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한편 한국 측은 북러 협력과 제재 이행 언급을 주요 발표에서 제외해 외교적 온도차를 드러내기도 했다.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최근 핵보유국 지위 인정과 핵군축협상 가능성을 시사한 뒤여서, 한미 양국의 비핵화 원칙 재강조는 상징적 의미가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양국은 또 “대만 해협의 평화와 안정이 국제 안보와 번영의 필수적 요소”라고 강조했다. 미 국무부는 이를 분명히 밝혔으나, 외교부는 대만 문제를 직접 언급하지 않고 인도·태평양 지역 협력 증진에 초점을 뒀다. 한미일 3각 공조 강화와 한일관계의 안정적 발전 필요성도 공감대를 이뤘다. 국무부는 “역내 안보 위협을 상대로 한 억제력과 회복력에 필수적인 한미일 협력을 진전시켜야 한다”고 논평했다.
경제·기술 협력 분야도 주요 의제로 다뤘다. 공급망 안정, 핵심 및 신흥 기술 공동 대응뿐 아니라 인공지능, 원자력, 퀀텀 등 첨단 분야 기술 동맹의 3번째 축 강화 의지가 공유됐다. ‘조선 산업’ 협력은 범정부 차원의 협력 체계를 통해 구체화하기로 했다.
이날 두 장관은 한미 관세 협상 타결을 평가하며, 한미정상회담 일정도 논의했다. 또 10월 말 경주에서 개최되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초청 및 미국 측의 지지 요청이 오갔다. 루비오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의 참석에 대해 “적극 검토 중”이라고 답했다.
한미 양국 간 외교 현안이 급물살을 타고 있는 가운데, 동맹 현대화와 한미일 협력, 대북 공동대응 등 주요 정책은 향후 양국 및 역내 정세에 중요한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정부는 앞으로 북핵 대응과 경제안보, 첨단기술 협력 등을 중심으로 미국과 전략적 논의를 이어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