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층 긍정 66%"…이재명 대통령 국정 지지율 60% 유지, 진영별 평가는 엇갈려
정권 중반 레임덕 우려와 지지층 결집 사이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지지 기반이 어디에 뿌리 내리고 있는지가 다시 쟁점으로 떠올랐다. 진영별 평가 격차가 선명한 가운데 중도층과 40·50대를 중심으로 긍정 여론이 강하게 형성됐다는 조사 결과가 나오면서 향후 국정 운영 전략에도 영향을 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한국갤럽은 2025년 11월 18일부터 20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1천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직무 수행에 대한 긍정 평가는 60%, 부정 평가는 30%, 의견 유보는 10%로 집계됐다고 21일 전했다. 직전 조사와 비교해 뚜렷한 변동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국정 지지율] 이재명 대통령 직무 긍정 60%…부정 30% (한국갤럽)](https://mdaily.cdn.presscon.ai/prod/129/images/20251121/1763690095984_63280502.png)
정치 성향과 정당 지지에 따라 평가는 크게 갈렸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직무 수행을 긍정적으로 본 응답자는 93%에 달했고, 진보층에서도 긍정 응답이 85%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는 부정 평가가 72%로 압도적이었고, 보수층에서도 부정 56%로 부정 응답이 우세했다.
이와 달리 중도층에서는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 수행에 긍정 66%, 부정 26%로 긍정 평가가 두 배 이상 높게 집계됐다. 세대별로는 40대와 50대의 긍정률이 70%대로 가장 높았고, 그 외 연령대에서는 대체로 50%대 긍정 평가를 기록했다. 중도층과 40·50대가 지지율을 견인하는 구조가 확인된 셈이다.
이재명 대통령 직무 수행에 긍정적이라고 답한 598명을 대상으로 이유를 물은 결과에서는 외교가 34%로 가장 많이 언급됐다. 이어 경제·민생 14%, 전반적으로 잘한다 8%, 직무 능력·유능함 4%,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회의 성과 4%, 추진력·실행력·속도감 4%, 소통 3% 순으로 집계됐다. 외교와 경제, 추진력에 대한 평가가 긍정 여론의 핵심 축으로 드러난 셈이다.
부정 평가를 한 304명은 도덕성 문제와 본인 재판 회피를 12%로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이어 대장동 사건과 검찰 항소 포기 압박 11%, 경제·민생 9%, 부동산 정책과 대출 규제 7%, 전반적으로 잘못한다 6%, 독재·독단 6%, 친중 정책과 중국인 무비자 입국 6%, 외교 5% 순으로 응답했다. 여권이 제기해 온 도덕성·사법 리스크와 대장동 이슈가 여전히 이재명 대통령의 약점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번 조사는 이동통신 3사가 제공한 무선전화 가상번호를 무작위 추출해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 접촉률 46.0%, 응답률 12.5%였으며, 한국갤럽이 자체 수행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정치권에서는 향후 국정 동력의 향방을 두고 촉각을 곤두세우는 분위기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외교와 경제를 중심으로 한 대통령 지지 기반을 바탕으로 국정 과제 추진에 힘을 실을 것으로 보인다. 반면 야당인 국민의힘은 도덕성과 대장동 사건, 부동산 정책 등을 정조준하며 견제 수위를 끌어올릴 가능성이 크다.
특히 중도층에서의 높은 긍정 평가와 40·50대의 지지세는 차기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각 정당의 전략 수립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여론조사 수치가 당장 정국의 향방을 결정짓지는 않지만, 여야가 향후 국회 일정과 입법 공방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핵심 참고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날 국회와 정치권은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 흐름을 면밀히 주시하면서 외교와 도덕성, 민생을 둘러싼 공방 수위를 조정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향후 주요 외교 일정과 민생 대책 추진 과정에서 이러한 여론의 구체적 흐름을 반영할지를 검토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