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성 부각하며 협치 요구”…장동혁, 이재명 대통령과 회동 앞두고 특검법·입법 속도전 압박
정치적 충돌 지점이 다시 부상했다.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와 이재명 대통령이 8일 오찬 회동을 앞두고, 협치와 대여 투쟁이라는 두 축이 격돌하는 형국이다. 더불어민주당 주도의 입법 강행 흐름과 특검 수사를 둘러싼 야당의 반발이 정국을 흔들고 있다.
장동혁 대표는 7일 국회 지도부 회의를 통해 이재명 대통령과의 회동 의제, 발언 수위 등을 조율했다. 국민의힘은 장 대표가 오찬 후 이어질 대통령 단독 회동에서 더불어민주당의 '일방적 국회 운영' 문제점과 현안들을 구체적으로 제기하고, 협치를 위한 태도 변화를 거듭 촉구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특히 장 대표는 민주당이 추진 중인 3대 특검(내란·김건희·순직해병 특검)법 개정, 수사범위 확대, 내란특별재판부 신설 등 주요 쟁점법안의 중단을 강하게 요구할 방침이다. "특검이나 특별재판부 설치 때문에 국회가 교착상태에 빠졌다"며 "이 문제를 풀 수 있는 것은 대통령이며, 대화와 협치를 위한 물꼬를 트는 것도 대통령 역할"이라고 최근 밝힌 장 대표의 입장이 반영됐다.
이와 관련해 민주당이 25일 본회의 처리를 예고한 검찰청 폐지 정부조직법 개정안, 방송통신위원회 해체 및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 신설법 등도 속도 조절을 공식적으로 요청할 전망이다. 당내 일각에서는 만약 민주당이 특검법안을 강행할 경우 이재명 대통령이 재의요구권을 행사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양측의 입장 차는 치열한 공방으로 이어지고 있다. 여권은 민주당이 야당 탄압을 목적으로 특검과 재판부 신설에 집착하고 있다고 주장하는 반면, 민주당은 국회 본회의 다수 의석의 정당성을 내세우며 입법 역행을 경계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야야 협상 실패 시 국민 불신이 가중될 것"이라는 우려와 동시에 "장동혁 대표가 대통령 책임론을 차기 투쟁 명분으로 키울 수 있다"고 진단했다.
결국 이번 회동 결과에 따라 정국 전망도 달라질 것으로 관측된다. 국민의힘이 대통령과의 대화를 통한 협치 성과를 얻지 못할 경우, 오히려 장 대표의 강경 투쟁론이 부각돼 당내 결집 효과를 거둘 가능성도 제기된다. 또한 장 대표가 이재명 대통령과의 단독 회담에서 여권 지도자로서의 존재감을 강화하며 향후 대여 전략의 교두보를 마련하게 될지 이목이 쏠리고 있다.
국회는 민주당 주도의 쟁점 법안 처리를 앞두고, 여야 지도부의 만남 이후 더욱 치열한 공방이 이어질 전망이다. 정치권은 대통령 협치 역할론과 장동혁 대표의 대여 투쟁 강화 전략을 놓고 격돌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