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공공심야약국 3배 확대”…운영 내실화·홍보 강화 요구 커져

조보라 기자
입력

공공심야약국이 전국적으로 빠르게 확산되며 시민들의 심야 의약품 접근성을 넓히고 있다. 지난 2022년 시범 도입 이후 올해 8월 기준 전국 220곳으로 늘어나며 3년 만에 3배 이상 증가했다. 그러나 최근 조사에서 이용자 10명 중 9명은 공공심야약국이 충분치 않으며, 확대와 홍보 강화 필요성이 높다는 의견을 내놨다. 업계는 이 사업의 성패가 제공 서비스의 실질적 접근성 강화와 지속 가능한 운영 모델 구축에 달려 있다고 보고 있다.

 

공공심야약국은 야간, 심야, 휴일 등 일반 약국이 운영되지 않는 시간대에 시민 대상으로 의약품 구입 편의성과 의료 접근성을 높이는 정책사업으로, 정부가 2022년부터 지원해왔다. 운영 약국은 매일 22시부터 익일 1시 전후까지 매일 3시간 내외 문을 연다. 지역별로는 경기가 59개소로 가장 많고, 이어 서울 33개, 인천 20개, 부산 15개 등 전국적 분포를 보인다. 세종 등 일부 지역은 2곳에 머물러 접근성 편차를 보인다.

기술적 인프라와 정책 지원이 더해지며 ‘공적 보건 약국 네트워크’가 심야·응급 의료의 사회안전망으로 자리 잡고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실제 지난해 대한약사회 만족도 조사에서 전반적 이용 만족도는 91.3점에 달했다. 다만 약국 정보 검색, 위치 안내 등의 세부 항목 만족도는 85.9점으로 상대적으로 낮았고, 40% 정도의 이용자가 “홍보 강화”를 주요 요구로 꼽았다.

 

심야약국은 IT기반 지역 안내 플랫폼, 공공앱 지도 서비스 등과 연계될 경우 이용자 접근성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실제 현장에서는 “인근 심야약국 운영 여부를 알지 못해 불편을 겪었다”는 사례가 적지 않게 보고된다. 전문가들은 한국이 디지털 헬스케어 인프라를 연계한 공공서비스 확장이 필요하다고 진단하고 있다.

 

운영 실적 면에서는 일부 우려도 있다. 2023년 기준 약국 1곳의 하루 평균 이용자는 9명으로, 전년(16명) 대비 절반 가까이 줄었다. 심야근무 인건비, 의약품 관리 비용 등 경영상 부담과 함께, 낮은 수익성으로 인력충원 한계가 지적된다. 약사회는 “운영주체의 경제적 어려움과 현장의 인력 수급 문제를 해소할 현실적 지원책이 시급하다”고 분석했다.

 

해외 주요국은 공공 약국 시스템에 의료 IT플랫폼, 위치기반 서비스, 문자 안내 등 디지털 기술을 적극 접목하고 있다. 미국, 독일 등은 심야 조제망 정보제공부터 보험·공공복지 연계 지원까지 적용 범위를 확대 중이다. 반면 한국은 아직 오프라인 중심 운영에 머물러 한계가 있다는 평가가 있다.

 

보건복지부, 식약처 등 관련 부처는 약국 운영자 비용보전, 의약품 공급망 안정화 등 제도적 뒷받침을 검토하고 있다. 데이터 기반 정책 설계, 지역별 맞춤 운영 모델 도입 역시 과제로 꼽힌다. 정책 전문가들은 “사업 속도보다 지역별 수요정보, IT기반 정보플랫폼 구축이 더 시급하다”고 분석한다.

 

장종태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양적 확대보다 국민이 심야약국 위치 정보를 쉽게 파악하고, 약국의 현실적 운영 여건을 보완하는 질적 내실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업계와 보건 정책 현장에서는 공공심야약국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정보 제공 체계 개편과 운영 지원, 홍보 강화가 과제라는 의견이 확산되고 있다. 산업계는 이번 정책이 실질적 의료 접점 확대와 디지털 전환에 성공적으로 안착할지 지켜보고 있다.

조보라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공공심야약국#장종태#대한약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