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구금 한국인 300여명 전세기로 송환 협의”…조현, 루비오 장관과 워싱턴 회동
미국 내 구금된 한국인 300여 명의 조기 송환 문제를 두고 조현 외교부 장관과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이 워싱턴D.C.에서 전격 회동한다. 한미 외교 라인이 직접 대책 논의에 나서며, 구금 사태 해결을 위한 실질적 협상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외교부 당국자는 9일 “조현 장관이 9일(현지시간)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을 비롯해 미국 내 우리 국민 출입국에 영향을 미치는 국토안보부 등 연방정부 인사들과 연쇄 면담을 가진다”고 밝혔다. 현재 미국에 억류된 국민 300여 명의 국내 송환을 목표로, 전세기도 10일 출발을 위한 세부 절차를 진행 중이다.

조현 장관은 미국 본토 내에서 구금된 한국인들이 모두 ‘자진 출국’ 형태로 귀국하고, 재입국 시 불이익이 없도록 미 정부 측 긴밀한 협조를 구할 방침이다. 더불어 미국 이민정책을 총괄하는 국토안보부 등과 별도의 면담까지 조율하며 출입국 절차 전반의 문제도 논의한다는 계획이다.
그는 구체적으로 “구금된 국민의 비자 종류, 체류 신분이 다양한 만큼 처한 상황과 상관없이 모두 ‘자진 출국’ 형태로 귀국시키고, 미국 재방문 시 불이익이 없도록 한다는 게 정부의 기본 입장”이라고 전했다. 나아가 미국 내 취업 가능성이 있는 전문직 비자(E-4) 신설 및 H-1B 비자 내 한국인 할당 확대 등 근본적 재발 방지책 논의에도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동시에 현지 공장에서 함께 구금된 일부 외국 국적자들도 전세기 탑승 명단에 포함될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외교부는 송환 일정과 절차의 원만한 진행에 초점을 맞추면서, 국내 가족들에게 신속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총력 대응 중이다.
정치권에서는 정부의 적극적 대응을 두고 “미국 정부와의 사전 공조 강화가 절실하다”는 목소리와 “근본적인 이민제도 개혁책까지 논의가 필요하다”는 요구가 동시에 제기됐다. 일부 시민단체는 “30만 재외동포 안전 문제 역시 종합적으로 점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양국 정부가 한미 동맹 속 인도적 문제에 신속히 협조하는 만큼, 합의 결과 및 재방문 불이익 여부가 중장기적으로 한미관계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외교부는 “전세기를 통해 구금 한국인들의 자진 송환이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향후 미국과의 후속 협의에서 E-4 등 신규 비자 제도 정비, 한국인 취업비자 배정 확대 방안까지 중·장기적으로 검토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