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APEC 정상회의 앞두고 판문점 특별견학 중단”…유엔군사령부·통일부, 북미대화 가능성 대비

허예린 기자
입력

한반도를 둘러싼 긴장감이 다시 고조되는 가운데, 유엔군사령부와 통일부가 주요 국제회의를 앞두고 판문점 특별견학 프로그램을 일시 중단하기로 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등 각국 정상들의 방한 시기와 맞물려 북미 접촉 성사 가능성과 외교적 파장이 함께 거론된다.

 

유엔군사령부와 통일부는 오는 10월 31일부터 11월 1일까지 경주에서 개최되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기간, 판문점에서 진행되던 특별견학을 전면 중단한다. 구병삼 통일부 대변인은 20일 정례브리핑에서 “10월 말에서 11월 초에는 통일부가 실시하는 판문점 특별견학은 없다”고 밝혔다. 이 조치는 유엔군사령부의 공식 요청에 따른 것이다.

통일부는 유엔군사령부의 판문점 출입 승인 권한과 조율해 내국인 ‘정책 고객’ 등을 대상으로 판문점 특별견학을 꾸준히 실시해 왔다. 최근에는 매일 두 차례, 일일 총 40명의 제한 정원으로 운영되는 등 견학 수요가 꾸준히 이어졌다. 이번 조치로 해당 기간에는 외국인 특별견학도 유엔군사령부 차원에서 중단된다.

 

정부 소식통은 “유엔군사령부 요청에 따라 협의해 국내 특별견학도 그 기간 중단하기로 조율했다“고 언급했다. 이처럼 외부인의 판문점 접근이 통제되는 배경에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등 미국 주요 인사의 APEC 정상회의 참석과 더불어 북미 정상 간 교류 가능성을 둘러싼 실무적 대비가 자리 잡고 있다는 해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실제로 2019년 6월,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전격 회동이 판문점에서 이뤄진 전례가 있다.

 

외신 보도도 관심을 키웠다. CNN은 지난 18일(현지시간), “미국 행정부 내부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아시아 순방 중 김정은 위원장과의 만남에 대해 비공개 논의가 있었다”고 전했다. 정부 고위 당국자 역시 “(북미대화 가능성에 대비한) 몇 가지 징후를 보고 있다”는 평가를 내렸다.

 

다만 통일부와 유엔군사령부는 판문점 특별견학 중단의 배경을 명확히 설명하지 않고 “특별견학에 대한 모든 권한은 유엔사가 갖고 있다”고만 전했다. 일각에서는 북미 대화 차원보다는 각국 정상 방한 시 북한의 돌발 행동에 대비해 한반도 내 긴장 고조와 외부 요인 발생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하려는 조치라는 관측도 제기된다.

 

한편 통일부는 정상회의 이후 판문점 견학 재개 시점과 방식에 대해 유엔군사령부와 협의해 안내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향후 한반도 정세 변화와 정상 간 접촉 가능성, 남북관계에 미칠 영향을 예의주시하며 추가 조치를 검토할 예정이다.

허예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유엔군사령부#통일부#apec정상회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