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AI 반도체 수요 급등에 생산라인 증설”…TSMC, 미국 애리조나 제2공장 공식화

최유진 기자
입력

현지시각 17일, 미국(USA) 애리조나(AZ) 주 피닉스(Phoenix)에서 세계 최대 파운드리업체인 TSMC가 인공지능(AI) 수요 급증에 대응한 대규모 제2공장 건설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이번 증설 결정은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재편 속 미국 내 생산 역량 강화와, AI·고성능 컴퓨팅(HPC) 등 신기술 분야 확대가 맞물린 결과로, 글로벌 반도체 업계와 증시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TSMC 웨이저자(Wei Zhejia) 회장은 이날 실적설명회를 통해 미국 애리조나 피닉스 내 21팹 인근에 신규 ‘기가팹’ 공장을 신설한다고 밝혔다. 이 초대형 시설은 매월 10만장 이상의 웨이퍼 생산 능력을 갖춰 현지 고객사의 급증하는 수요를 뒷받침할 전망이다. 웨이 회장은 “AI와 HPC뿐 아니라 스마트폰 등 다양한 분야에서 미국 내 고객들의 수요에 전략적으로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TSMC’, AI 수요 확대에 美애리조나 2공장 추진…4분기 매출 22% 증가 전망
‘TSMC’, AI 수요 확대에 美애리조나 2공장 추진…4분기 매출 22% 증가 전망

TSMC는 해외 공장 확대의 주요 조건으로 고객 실수요와 현지 정부 지원, 거점의 지리적 전략성을 꼽았다. 동시에 일본(Japan) 구마모토 제1공장의 양산 수율이 기대치를 상회한다고 밝혔으며, 지연됐던 제2공장도 최근 착공에 돌입했다. 독일(Germany) 드레스덴 신공장의 경우 TSMC가 70%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생산 일정 역시 글로벌 수요와 시장 상황에 맞춰 신속히 조정될 방침이다.

 

이번 증설 소식에 미국 투자 및 정책당국은 물론, 업계와 경제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TSMC는 올 3분기 연결기준 매출이 9,899억 대만달러(약 45조7천억원)에 달했다고 보고했으며, 4분기 역시 전년 동기 대비 22% 늘어난 322억~344억 달러(약 45조6천억~48조8천억원)라는 사상 최대치를 예상했다. 이 같은 공격적 투자와 생산능력 확장은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안정화, 시장점유율 경쟁, 현지 일자리 및 기술 혁신에도 지속적 파장을 낳을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실리콘밸리 주요 매체들은 TSMC의 이번 결정을 “미·중 반도체 경쟁 심화 속 미국 기술 자립의 핵심 전환점”으로 평가했다. 파이낸셜타임스와 월스트리트저널은 TSMC의 본격적인 생산라인 다각화 전략이 다른 아시아 경쟁사의 글로벌 확장에도 촉매가 될 수 있다고 해설했다.

 

전문가들은 TSMC의 행보가 AI 및 첨단칩 수요 본격화와 함께 반도체 분야 글로벌 리더십 구도를 다시 쓸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한편, 중국(China)뿐 아니라 유럽(EU), 일본 등도 자국 내 핵심 반도체 생산시설 유치에 나서며 공급망 주도권 경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TSMC는 “해외 투자와 가동일정은 시장환경과 주요 파트너사 요청에 따라 지속 조정될 것”이라고 밝혔다. 업계는 향후 TSMC의 글로벌 생산망 확충이 반도체 공급 안정성과 시장 경쟁 판도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최유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tsmc#애리조나#ai반도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