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방한 실질적 준비”…이재명 대통령 특사단, 중국 고위급 연쇄 면담 진행
한중관계 전략적 협력과 한반도 평화 정착을 둘러싸고 대한민국과 중국 정부가 다시 한 번 직접 맞붙었다. 이재명 대통령이 보낸 특사단은 26일 베이징에서 중국 서열 3위 자오러지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과 한정 국가부주석을 잇따라 만나 정상급 신뢰 구축과 시진핑 국가주석 방한 준비 등 한중관계 핵심 현안을 집중 논의했다. 아울러 독립운동 사적지 협력, 남북대화 재개를 위한 중국 역할도 공식 요청하면서, 양국관계 전반이 새로운 전기를 맞고 있다.
특사단과 중국 고위급 인사들은 이날 한중관계가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정상궤도’ 진입에 성공해야 한다는 데 한목소리를 냈다. 외교부에 따르면 특사단은 “정치지도자와 국민 양측에서 한층 두터운 신뢰를 구축하고 그 토대 위에 다층적 교류와 소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10월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 계기 시진핑 국가주석 방한을 실질적으로 준비하고, 인적·문화 교류 확대에 합의했다. 중국 측도 “호혜적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이익을 증진하고 우의를 깊게 할 것”이라고 화답했다.

이날 면담에서는 양국 과거사와 미래 협력 과제도 집중 거론됐다. 특사단은 중국 내 독립운동 사적지 관리·보존 및 안중근 의사 유해 발굴에 대해 특별한 협조를 요청했다. 이에 중국은 “독립운동 사적지는 양국 우호협력의 상징으로, 한국과 긴밀히 협조할 것”이라고 답했다.
한반도 평화문제도 핵심 의제로 다뤄졌다. 박병석 전 국회의장이 이끄는 특사단은 “현재 남북 소통 단절로 우발적 충돌 우려가 높아진 만큼, 남북 대화 재개에 있어 중국의 적극적 역할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중국은 “한반도 문제 정치적 해결과 평화·안정 실현을 위한 건설적 역할을 지속할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자오러지 상무위원장은 “시진핑 주석은 중한 관계에서 신뢰와 이해가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33년간의 한중 외교와 같은 유익한 경험을 바탕으로 더욱 멀리 나아가자”고 밝혔다. 박병석 단장 역시 “지난 33년간의 우여곡절에도 불구하고 양국 관계는 발전하고 있으며, 현 정부 또한 국민 주권과 의회 절대다수의 동의를 바탕으로 관계 강화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다”며 협력 의지를 다졌다.
특사단은 앞서 24일 왕이 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 겸 외교부장에게 이재명 대통령 친서를 전달하며 시진핑 주석의 APEC 정상회의 참석을 요청했다. 25일에는 왕원타오 중국 상무부장과 한중 자유무역협정 2단계 협상, 희토류 등 핵심광물 공급 안정화 논의를 이어갔다.
이번 방중 특사단에는 박병석 전 국회의장 외에 더불어민주당 김태년·박정 의원, 노재헌 동아시아문화재단 이사장이 포함됐다. 정부는 특사단을 통해 한중관계가 전략적 신뢰에 기초한 ‘성숙단계’로 발전하고, 남북관계 돌파구 모색에도 중국의 실질적 협력이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한다는 계획이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이재명 정부의 특사외교가 내실 있는 한중관계 복원, 한반도 안정이라는 두 가지 과제에 대한 새로운 리더십 시험대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정부는 향후 시진핑 주석 방한 실현과 남북대화 재개의 실질 진전이 이뤄질 수 있도록 중국과 공조를 계속 강화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