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전틱 AI 도입 가속”…한국MS, 산업별 혁신 전환에 대규모 행사
한국마이크로소프트가 9월 중 ‘AI 트랜스포메이션 위크’를 개최하며, 에이전틱 인공지능(AI) 기술을 국내 산업 전반에 확산하는 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최근 에이전틱 AI 도입과 비즈니스 혁신을 둘러싼 기업들의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맞춤형 AI 에이전트의 실제 적용 사례와 전망이 다양한 세션을 통해 공개된다. 전문가들은 AI 기반 업무 자동화와 생산성 향상이 산업 경쟁력 강화의 핵심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마이크로소프트에 따르면 이번 행사는 총 6개 세션으로 구성돼 이마트, KT, LG전자, SK이노베이션 등 주요 기업이 참여하는 웨비나와 제조업 특화 포럼, 해커톤, 실습 워크숍 등이 마련된다. 19일에는 ‘See the Agentic AI, 일의 판을 바꾸다’ 세션에서 기업들의 도입 경험과 비즈니스 변화 사례가 온라인을 통해 발표될 예정이며, 26일 강남 GS타워에서는 아모레퍼시픽, 포스코, 한화 등이 참여하는 ‘제조업의 미래, Agentic AI로 다시 쓰다’ 세션이 오프라인으로 진행된다.
특히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기반의 클라우드 전략을 논의하는 ‘Ground the Agentic AI’ 세션과 맞춤형 에이전트 개발, 전문가 코칭이 이뤄지는 ‘코파일럿 에이전톤 서울 2025’, 깃허브 코파일럿을 활용한 AI 코딩 실습, 인프런 등 온라인 교육 제공 등 지원 프로그램이 폭넓게 마련됐다. 업계에서는 맞춤형 AI가 기업의 생산성 및 품질 향상을 넘어 공급망 최적화, 조직 전반의 업무 효율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기대감이 확산되고 있다.
AI 산업 전문가들은 이번 행사에서 공유된 다양한 성공 사례를 계기로, 국내 제조업과 서비스업 전반에서 AI 전환 움직임이 더욱 속도를 낼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데이터·클라우드 인프라와 결합된 에이전틱 AI가 중소·중견 기업까지 빠르게 확산될지 주목된다.
한편, 정부와 금융권 주요 정책에서도 AI 도입 및 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는 방안이 잇달아 논의되고 있다. 인공지능 기반 산업 구조 재편과 기술 인력 양성, 클라우드 확장 등 제도 정비가 주요 과제로 대두된 상황이다.
과거에는 일부 IT 대기업 위주로 AI 전환이 시도됐지만, 최근에는 유통·제조·서비스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성공 모델이 확인되며 확산세가 뚜렷해지고 있다.
조원우 한국마이크로소프트 대표는 “AI가 산업과 조직 운영을 재정의하는 지금, 에이전틱 AI의 잠재력을 현실로 만드는 여정을 시작할 때”라고 강조했다. 시장에서는 오는 10월 주요 글로벌 IT 행사를 앞두고 국내 기업의 AI 경쟁력 강화를 위한 대응 전략에 이목이 쏠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