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1조1,000억 증가에 그쳐”…6개월 만에 최저치, 주담대·신용대출 모두 둔화
지난 9월 전 금융권 가계대출이 1조1,000억 원 증가하는 데 그치며, 6개월 만에 가장 낮은 증가 폭을 기록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16일 ‘9월 중 가계대출 동향(잠정치)’을 통해 이 같은 흐름을 발표했다. 지난 3월 7,000억 원이던 가계대출 증가규모는 6월 6조5,000억 원까지 확대됐다가, 6·27 대책 시행 이후 7월 2조3,000억 원으로 감소했다. 8월엔 4조7,000억 원으로 소폭 반등했으나 9월 들어 다시 1조1,000억 원으로 줄었다.
주택담보대출은 3조6,000억 원 늘었지만, 전월(5조1,000억 원) 대비 증가세가 완연히 둔화됐다.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은 2조4,000억 원 줄며 감소폭이 더 커졌다. 특히 신용대출의 경우 8월 -3,000억 원에서 9월 -1조6,000억 원으로 감소 규모가 크게 확대됐다.

은행권에서는 전체 가계대출이 2조 원 증가해 전월 대비 증가폭이 줄었으며, 주택담보대출 역시 2조7,000억 원에서 1조4,000억 원으로 둔화됐다. 정책성대출은 1조1,000억 원대를 유지한 반면, 기타대출은 5,000억 원 감소로 전환됐다. 제2금융권은 9,000억 원 감소를 기록하며 흐름이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금융당국은 "주택매매 거래량이 감소하고 6·27 대책이 본격 적용된 영향으로 신규 주택담보대출 확대 속도가 둔화됐다"고 밝혔다. 또 “신용대출은 휴가철 자금 수요 감소, 분기 말 매상각 등 요인도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금융위원회는 “수도권 일부 지역에서 부동산 과열 조짐이 있는 만큼, 대출수요 관리방안에 따라 현장 점검과 불법·편법 대출 조사를 강화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9월 가계대출 증가세가 최근 들어 안정되는 모습을 보이면서, 향후 정책 방향과 수도권 부동산 시장의 흐름에 관심이 모아진다. 시장에서는 다음 달 발표될 금융당국 추가 관리방향에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