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PNG

ºC

logo
logo
“김정은 만남 주선할 수도”…트럼프, 한반도 대화 재개 신호
정치

“김정은 만남 주선할 수도”…트럼프, 한반도 대화 재개 신호

신도현 기자
입력

북미 대화 재개의 불씨가 다시 살아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미국 순방 중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첫 정상회담을 가진 자리에서 북미 및 남북미 대화 가능성이 공개적으로 언급됐다. 양국 정상의 만남과 맞물려 다가오는 10월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한반도 평화 정국의 중대 분수령이 될 수 있을지 정치권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25일(현지시간) 백악관 오벌오피스에서 진행된 한미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 기자단의 “APEC 정상회담 참석 여부” 질의에 대해 “그러길 바란다”며 긍정적으로 답했다. 이어 “나는 무역회의에서 잠시 빠져나와 여러분 대통령이 원하면 그를 위해 뭔가를 해줄 수도 있다”고 밝혀 다양한 한반도 관련 협력 의지를 내비쳤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APEC을 계기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만남, 혹은 다자 대화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 “흥미롭다”는 반응을 보이며 “우리는 당신(이재명 대통령)과 김정은의 만남을 주선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무엇이든 내가 한국과 관련해 사람들을 모으도록 할 수 있는 일이 있다면 함께해야 하지 않겠느냐”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의 직접적 언급에 한반도 긴장 완화 기대감이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대화 시그널은 과거 트럼프 대통령이 2019년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직후 판문점에서 김정은 위원장과 전격 회동했던 전례와 맞닿아 있다. 이재명 대통령 역시 한미정상회담과 동시에 중국에 특사단을 파견해 시진핑 국가주석의 APEC 정상회의 참석을 요청했으며, 일부에선 북한의 회의 초청 가능성까지 꾸준히 제기돼 왔다. 한반도를 둘러싼 북미·남북미·중국 등 주요국들이 경주에서 한 자리에 모이는 진풍경에 대한 기대감도 서서히 커지고 있다.

 

그러나 변수도 만만치 않다. 트럼프 대통령 특유의 예측 불가능한 태도와 구체적 계획의 부재, 북한의 연이은 비난 성명 등 불확실성이 여전하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이 ‘립서비스’에 그칠 수 있다는 평가와 함께, 북한의 최근 대내외 메시지가 한층 경직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치권에서는 북미 대화가 장기간 단절됐던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적으로 긍정 신호를 드러내고 이재명 대통령도 외교 무대에서 정교한 조율에 나서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한미정상회담 결과 브리핑에서 “아직은 제안 단계이고 구상 단계의 초기”라며 “좀 더 상의하고 구체화해야 할 과제”라고 신중한 입장을 밝혔다.

 

이날 귀국한 이재명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을 토대로 실질적 북미 혹은 남북미 대화 성사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추가 외교 전략 마련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10월 경주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관련 국가와의 외교 접촉을 이어갈 계획이다.

신도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트럼프#이재명#ap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