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킹 잇단 발생에…배경훈, 통신 보안 대혁신 촉구”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최근 해킹 사고가 잇따라 발생한 통신 산업의 신뢰 회복과 보안 강화를 위한 긴급 대책을 제시했다. 배 부총리는 17일 SK텔레콤, LG유플러스 등 통신 분야 주요 기업 CEO와 최고보안책임자(CISO)와의 긴급 면담을 통해 ‘통신 인프라 신뢰 회복’이 산업 안전망 수호의 분기점임을 강조했다. 업계는 이번 만남을 AI 시대 기술변화와 정보보호 대책의 전환점으로 보고 있다.
이날 배 부총리는 연속된 해킹 사고로 인해 국민 신뢰가 저하된 점을 엄중하게 인식하고 있다는 점을 피력했다. 그는 통신사의 자체 정보보호 시스템 쇄신과 전사적 노력을 주문하면서 “국민 모두가 일상적으로 이용하는 통신 인프라가 사이버 위협에 노출된다면 디지털 사회 전체로 파급될 공산이 크다”고 지적했다. 특히 통신사는 기업 네트워크 및 클라우드 기반에서 고객 데이터를 대규모로 다루는 만큼, 기존 보안 체계의 점검과 인공지능(AI) 기반 탐지·운영 등 첨단 수준의 사이버 방어 태세가 요구된다.

아울러 미래 신성장 동력으로 각광받는 AI 산업과 관련해 통신사들의 투자 확대와 생태계 지원 역시 요청했다. 배 부총리는 “AI 서비스 제공과 인프라 구축, 스타트업 육성을 위한 노력이 중요하다”며 통신사가 기술 혁신의 마중물 역할을 할 것을 당부했다.
국내외를 막론하고 해킹 및 사이버 공격에 대한 위협이 고조된 가운데, 한국 통신사의 한 단계 높은 사이버 보안 역량이 기업 경쟁력뿐 아니라 국가 AI 생태계 발전의 토대가 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미국·일본 등 주요국에서는 이미 AI와 정보보호를 연계한 규제·정책 지원이 강화되는 추세다.
정부 역시 통신망 보안 강화를 위한 법·제도 점검과 함께, AI 기반 보안 기술을 공식 도입할 구체적 방안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산업계는 통신사 보안 혁신과 AI 투자 전략이 실제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