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10월 고용지표 반쪽만 공개”…미 노동부 결정에 연준, 금리 판단 부담 가중

신유리 기자
입력

현지시각 기준 19일, 미국(USA) 노동부 산하 노동통계국(BLS)이 10월 고용보고서를 별도 배포하지 않고 11월 통계와 병합해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10월 가계조사가 연방정부 셧다운 동안 진행되지 못하면서 실업률 등 핵심 지표가 아예 빠지게 됐고, 오는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결정해야 하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제한된 정보를 토대로 통화정책을 논의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노동통계국은 현지시각 기준 19일 발표에서 2025년 10월 고용보고서 자료를 별도로 배포하지 않을 것이라고 공식화했다. 대신 기업조사를 바탕으로 한 10월 비농업 취업자 수 증감 통계만 11월 고용보고서에 포함해 11월 수치와 함께 공개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따라 10월 고용동향을 보여줄 수 있는 공식 수치는 부분적으로만 제공된다.

美 노동부, 10월 고용보고서 배포 취소…FOMC 후 11월 자료와 병합 발표
美 노동부, 10월 고용보고서 배포 취소…FOMC 후 11월 자료와 병합 발표

반면 실업률을 산출하는 데 사용되는 가계조사 자료는 10월분 전체가 누락된다. 노동통계국은 연방정부 셧다운 기간에 가계조사 설문을 진행하지 못했고, 조사 특성상 셧다운 종료 후에 10월 기준 응답을 사후 수집하는 방식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설문 표본 가계를 상대로 대면이나 전화 방식으로 이뤄지는 가계조사와 달리, 기업조사는 사업체들이 고용 관련 정보를 전산 시스템에 입력하는 방식이어서 일정 기간이 지난 뒤에도 집계가 가능한 점을 차이로 제시했다.

 

이 같은 기술적 제약은 이미 행정부 내부에서도 문제로 지적돼 왔다.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보수 성향 매체 인터뷰에서 10월 가계조사가 이뤄지지 못한 사실을 언급하며, 10월 고용자료가 실업률 통계 없이 비농업 취업자 통계에 한정된 반쪽짜리 지표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실업률, 경제활동참가율 등 노동시장 전반의 온도를 파악하는 데 필수적인 정보가 빠져 정책 결정과 시장 분석 모두에 공백이 생겼다는 지적이다.

 

노동통계국은 발표 일정도 손질했다. 11월 고용보고서는 당초 계획보다 늦은 현지시각 기준 12월 19일 공개된다. 일정 변경에 따라 10월 비농업 고용자 수 증감 현황이 담긴 공식 통계 역시 같은 시점에야 시장에 제공된다. 12월 기준금리 결정을 논의하는 FOMC 회의가 이미 끝난 뒤다.

 

이 같은 조치는 주변 금융시장에도 파장을 미치고 있다. 통상 미국 고용보고서는 연준의 통화정책 경로를 가늠할 수 있는 핵심 선행지표로 받아들여져 채권금리와 환율, 주식시장을 크게 움직여 왔다. 이번에는 10월 고용 상황을 보여줄 실업률과 가계조사 기반 세부 통계 없이 금리 결정을 내려야 하는 만큼, 연준이 9월과 11월 등 이전 시점의 자료와 민간 고용지표, 물가 상황에 더 큰 비중을 둘 수밖에 없다는 관측이 나온다.

 

워싱턴발 보도에선 연방정부 셧다운이 통계 집계와 공개 일정에까지 영향을 미치며 정책 당국의 시계도 흐리게 만들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고용시장 둔화 여부가 향후 금리 경로를 좌우하는 핵심 변수로 부상한 가운데, 연준이 어느 정도의 데이터 공백을 감수하면서도 인플레이션과 경기 둔화 사이에서 균형을 잡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국제사회는 이번 발표 일정 조정이 미국 통화정책과 글로벌 금융시장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신유리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노동통계국#bls#연방공개시장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