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상륙작전 추모 예산 매년 800만원 불과”…한병도, 시민기억관 설립 촉구
정책 우선순위 논란이 다시 확산되고 있다. 인천시의 인천상륙작전 기념행사가 대규모 예산을 쏟아붓는 반면, 월미도 원주민 등 민간인 희생자에 대한 추모는 소홀하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한병도 의원(전북 익산을)은 20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에서 인천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토대로 “최근 3년간 인천상륙작전 기념행사 예산이 60억원에 달하는데, 정작 희생자 추모에는 매년 800만∼900만원밖에 배정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한 의원에 따르면, 2023년부터 2025년 사이 인천상륙작전 기념행사에는 각종 공연과 문화행사 명목으로 막대한 예산이 책정됐다. 올해 KBS 교향악단 공연에는 6억4천만원, 내년도 창작 뮤지컬 제작·공연에는 3억원이 집행될 예정이다. 그러나 월미도 원주민 희생자 추모 예산은 다른 행사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에 그쳤다.

월미도 원주민들은 1950년 9월 인천상륙작전에 앞서 미군의 폭격으로 희생된 이들이다.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는 당시 무고하게 숨진 민간인을 100여명으로 추정했다. 하지만 희생자 추모 사업 예산은 다른 문화·공연사업에 비해 턱없이 적어, 유가족과 지역사회 일각에서는 형평성 문제를 제기해 왔다.
정치권에서는 이번 예산 배분을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한병도 의원은 “국제평화도시 인천에 걸맞는 ‘시민기억관’ 설립이 시급하다”며, “참전용사 예우뿐만 아니라 유가족 복지와 민간인 희생의 역사를 기억하는 것이 진정한 평화도시로 가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인천시 측은 행사 예산과 별개로 추모 의미 역시 존중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번 사안을 두고 시민사회단체는 “역사의 그늘에 놓인 희생자 추모에 더욱 많은 지원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내고 있다. 정부와 국회 모두 진정한 화해와 평화의 가치를 위한 기념사업의 방향을 재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날 국회는 인천상륙작전 행사 예산과 희생자 추모 공공시설 설립 필요성을 두고 치열한 공방을 이어갔다. 정치권은 추모와 기념, 두 축 모두 놓치지 않는 균형 잡힌 정책 마련을 촉구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