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시장 둔화에 선제 대응 필요”…미국 연준 이사진, 금리 인하 주장에 파장
현지시각 1일, 미국(USA)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이사 2명이 노동시장 둔화 징후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며 금리 인하 의견을 공식적으로 내놨다. 같은 날 발표된 미 노동부 고용보고서에서 미국의 7월 비농업 일자리 증가가 7만3천명에 그쳐 전문가 전망을 크게 하회하면서 연준 통화정책 기조 변화 여부가 글로벌 금융시장에 즉각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이번 입장 표명은 미셸 보먼 연준 부의장이 성명을 통해 “올해 경제성장 둔화와 노동시장 활력 약화 징후가 확인됐다”며, “완만하게 제약적인 통화정책을 점진적으로 중립으로 옮기는 것이 적절하다”고 밝히면서 공식화됐다. 보먼 부의장은 “경제 추가 약화와 고용시장 충격에 대비해 금리 인하가 선제책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함께 동참한 크리스토퍼 월러 이사 역시 “기저 인플레이션이 목표에 근접한 지금, 노동시장 악화가 가시화된 이후에야 금리 인하 결정을 내리는 것은 너무 늦다”며 조기 정책 대응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두 이사는 지난 30일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4.25~4.50%로 다시 동결키로 한 다수 의견에 반대하며, 금리 인하를 공개적으로 주장했다. 연준 이사 두 명이 동시에 반대표를 던진 것은 지난 1993년 이후 처음으로, 내부 기류 변화를 보여주는 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특히 보먼 부의장과 월러 이사는 모두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임명한 이사들로, 월러 이사는 차기 연준 의장 후보로도 거론돼 정치적 배경이 의심된다는 시각도 있다.
이와 동시에, 미국(USA) 노동부가 발표한 7월 고용보고서에서는 비농업 일자리가 7만3천명 증가하는 데 그쳐, 예상치인 10만명에 크게 미치지 못했다. 5~6월 일자리 증가는 25만8천명 하향 조정되며 최근의 고용 둔화 흐름을 입증했다. 이에 대해 미 언론은 노동시장 둔화 현상을 더 이상 외면하기 어렵다는 지적을 내놓고 있다.
이번 사안으로 연준 내부의 정책 불확실성과 ‘파월의 금리 동결’ 기조가 흔들릴지에 시선이 쏠리고 있다. CNBC 등 미국 주요 매체는 “고용 둔화가 통화정책 정상화의 변수로 급부상했다”고 분석했고, 파이낸셜타임스는 “연준 내부에서 정책노선 분화가 본격화됐다”고 평가했다.
전문가들은 미국 노동시장의 구조적 약화와 연준 내 정치적 역학이 맞물려, 앞으로의 금리 결정 과정이 더욱 복잡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당분간 연준의 정책 방향성은 고용 지표와 성장세에 따른 ‘데이터 디펜던트’ 기조를 이어갈 것이란 분석이 우세하다. 국제사회는 이번 연준 이사진의 이례적 이견 표명이 글로벌 금융시장에 실질적인 변화 신호가 될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