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동맹, 군사서 경제로 확장”…김민석 총리, 정상회담 후속조치 강조
한미 동맹의 외연 확장을 두고 국무회의장에서 김민석 국무총리가 목소리를 높였다. 2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38회 국무회의에서 김 총리는 한미 정상회담의 성과를 언급하며 정국 안팎에서 주목받고 있다. 급변하는 국제질서와 내란 극복이라는 이중의 과제를 두고, 한미관계가 군사동맹을 넘어 제조업 등 경제 분야로 폭을 넓혀가야 한다는 주문이 이어졌다.
이날 김 총리는 “한일 정상회담에 이어 의미 있는 진전이 있었다”고 운을 뗐다. 이어 “내란 극복에 있어서도 또 하나의 고개를 넘은 의미가 있다”며 현 정국의 정치적 함의를 강조했다. 한미 정상은 군사 이슈는 물론 경제협력 확대에 뜻을 모았다는 평가가 뒤따랐다. 김 총리는 “양 정상은 급격한 국제질서 변화에 함께 대응해 한미동맹을 군사뿐 아니라 조선업·제조업 등 경제 분야까지 확장해 실질적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며, “특히 한반도 평화 구축과 비핵화를 위해 함께 노력해 나가기로 뜻을 모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 총리는 이대통령과 외교 관계자들에게 힘을 실었다. 그는 “온 국민과 함께 국익을 걸고 외교 총력전을 벌인 대통령과 관계자들에게 응원과 치하의 박수를 보낸다”고 말했다. 그는 또 “외교부를 중심으로 관계부처는 후속조치에 만전을 기해 주시기를 바란다”며 구체적인 정책 실행까지 주문했다.
정치권의 협치도 강조됐다. 김 총리는 “오늘 오후 제1 야당의 새로운 대표가 선출된다”며, “국정운영의 동반자인 여야 국회를 존중하고 협력하는 것은 민주주의의 기본 원칙이자 정부의 책무”라며 국회와의 협력 필요성을 재확인했다.
한편 김 총리는 비 피해와 산사태 등 자연재해 우려에 대해서도 책임 있는 대응을 당부했다. 관계부처가 국민 안전에 각별히 신경 쓸 것을 주문하며, 총리실 차원의 다각적 점검을 예고했다.
정치권은 이번 한미 정상회담 후속조치와 국회의 내홍, 그리고 자연재해 대응까지 격랑 속 정책 조정에 나설 전망이다. 정부는 향후 외교 후속조치에 만전을 기하는 한편, 국회와의 지속적 소통 및 재난 관리에 총력을 다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