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국정원 계엄문건 단순 인용일 뿐”…계엄 인력 파견 공모 의혹에 해명
정치

“국정원 계엄문건 단순 인용일 뿐”…계엄 인력 파견 공모 의혹에 해명

박다해 기자
입력

정치권을 중심으로 국가정보원이 계엄사령부 인력 파견 계획을 세웠다는 의혹과 국정원의 해명이 맞붙었다. 계엄 관련 문서를 두고 더불어민주당 윤건영 의원이 ‘계엄 공모’ 의혹을 제기하자, 국정원은 자체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실무진의 단순 시나리오 인용일 뿐이라고 반박하며 진상 규명에 한계를 토로했다.

 

국정원은 10일 공식 발표를 통해 “비상계엄 선포 시 국정원이 계엄사령부에 인력을 파견한다는 문건이 작성된 사실은 있으나, 이는 본인 참고용과 보고용 자료였으며 실제 인력 파견 계획을 검토하거나 추진한 사실과는 거리가 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8일 윤건영 의원이 “계엄 당일 국정원이 ‘비상계엄 선포 시 ○○국 조치사항’ 문서를 생산했고, 이는 계엄 공모 정황”이라고 주장한 데 대한 공식 입장이다.

국정원은 해당 문건을 실무직원이 2건 작성했다고 설명했다. 문서 1은 내부 참고용 문서로 ‘직원 80여 명 계엄사령부 파견’, ‘전시 중앙합동정보조사팀 구성’ 등 ‘XX계획’에 기초한 시나리오적 내용이 기재돼 있었고, 문서 2는 이를 바탕으로 부서장 보고용으로 작성됐다고 알렸다. 국정원은 “두 문건 모두 비상사태 대응 매뉴얼에서 인용한 것이며, 조직적 인력 지원을 구체적으로 추진한 사실이 없다”고 강조했다.

 

문서 유통 경로도 상세히 설명했다. 문서 2는 비상계엄 선포 후 12월 4일 1시 49분에 부서장에 전달됐고, 부서장 역시 2차장 보좌관에게 이를 전달했다. 2차장은 보좌관의 문서 전달 전에 이미 퇴근했다고 부연했다.

 

그러나 국정원은 “수사권이 없어 사실관계 및 진실 규명에는 한계가 있었다”며, 향후 특검이 본격 수사에 착수할 경우 “관련 자료를 충실히 제공해 의혹 해소에 적극 협조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윤건영 의원이 제기한 계엄 선포 후 특정 부서 직원 130여 명의 출근 사실에 대해 국정원은 이를 인정하면서도 자발적 조치였다고 해명했다. 국정원은 “3일 밤 22시 45분 부서 간부와 필수 인원에게 출근 지시가 내려갔고, 메시지를 받지 않은 일부 직원들도 국가비상사태라는 인식 아래 자발적으로 출근했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언론 보도를 지켜보며 대기하다가, 4일 새벽 1시 37분 2차장 지시로 퇴근 조치가 내려져 귀가했다고 덧붙였다.

 

이날 국회는 ‘계엄사령부 인력 파견 및 참사 개입 의혹’을 놓고 정치권 공방이 거세졌다. 국정원은 수사에 적극 협조하겠다는 뜻을 거듭 밝힌 만큼, 향후 특검 수사 결과와 정치적 파장이 주목된다.

박다해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국정원#윤건영#계엄문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