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쌀 개방 압력 반드시 막아내야”…김영록 전남지사, 한미 정상회담 앞두고 이재명 대통령에 당부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쌀 개방을 둘러싼 민감한 통상 이슈가 다시 불거졌다. 김영록 전라남도지사가 이재명 대통령에게 미국발 쌀 시장 개방 압력 저지를 공개적으로 주문하면서, 농업계와 산업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한미동맹 현대화와 경제적 실익의 균형에 대한 관심 역시 고조됐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25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이재명 대통령은 미국의 일방적인 쌀 개방 압력을 반드시 막아내시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한미 정상회담 성공을 기원합니다!’라는 글에서 한미 정상간 쌀 관세 문제, 철강 관세 등 민감한 통상 이슈가 논의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회담 테이블에는 지난달 타결된 한미 관세 협상 세부 사항, 한미동맹 현대화 등 경제 통상 외교 안보를 아우르는 폭넓은 주제가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며, “협상의 달인으로 불리는 트럼프 대통령이지만, 이재명 대통령도 산전수전 다 겪은 탁월한 협상가이자 전략가”라고 밝혔다.
특히 전남 지역 산업의 피해와 관련해 “미국의 철강 50% 관세 폭탄으로 전남의 주력산업인 철강산업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이번 회담에서 철강 제품에 대한 관세 인하가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호소했다.
정치권에선 김 지사의 이 같은 발언이 현안에 맞춘 현실적 요구와 동시에 이재명 대통령의 대미 협상력을 부각하는 전략적 메시지라는 해석도 뒤따랐다. 여권에서는 ‘국익을 최우선으로 놓고 정부가 적극 대응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야권 일부에서는 ‘농민과 지역 산업계 우려를 정확히 반영한 현실적 지적이다’는 반응이 엇갈렸다.
전문가들은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서 쌀 개방, 철강 관세 등 경제 현안 논의가 국내 민심과 직접 연결되는 만큼 이재명 대통령의 외교적 성공 여부에 정치적 파급력이 클 것으로 내다봤다. 농민단체와 노동계 역시 한미 통상 협상 결과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한편, 정부는 향후 정상회담 결과와 추가 미국 측 요구에 따라 쌀 시장 보호와 철강 관세 인하 방안 등을 폭넓게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