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폭우 때 우편 늦는다”…우본, 집배원 안전권리 강화로 산업 변화 예고
폭염과 폭우 등 극한 기후 변화가 우편물 배달 산업의 운영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다. 우정사업본부는 10월 2일까지 ‘여름철 작은 배려, 큰 안전’ 캠페인을 시행하며 집배원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는 제도적 조치를 강화한다고 공식 밝혔다. 여름철 자연재해가 빈번해지면서 현장 근로자의 ‘업무정지권’ 사용이 적극 권장되고 있는 가운데, 일부 지역에서는 우편물 배송이 늦어질 수 있다. 업계는 이번 대국민 안내를 ‘우편산업 안전 관리 체계 전환점’으로 바라보고 있다.
지난 31일 우정사업본부는 산업안전보건법 및 우편법 기준에 따라, 집배원이 폭염·폭우·태풍 등 위험 상황 시 즉각적으로 업무를 중단하고 대피할 수 있도록 제도적 보호장치를 확대한 점을 강조했다. 특히 낮 12시에서 16시까지는 온열질환 예방 자가진단 활용을 권장하고, 자율 휴식도 적극 지원한다. 집배원과 소포위탁배달원의 안전을 실질적으로 보장하는 것이 핵심이다.

새롭게 도입된 제도 하에서, 일부 지역 우편물 배달 지연이 불가피해질 경우 국민에게 사전 안내가 한층 체계화된다. 우체국은 접수 시점부터 해당 내용을 알리고, 배달 상황은 문자메시지와 디지털 채널, 오프라인 창구, 콜센터 등 다양한 방식으로 실시간 제공된다. 고객 불편 최소화를 위한 정보 전달 체계 고도화가 병행되고 있다.
특히 이번 제도는 기존 ‘신속 배달’ 중심의 우편산업 관행의 변화를 예고한다. 집배원 안전권이 현장에 뿌리를 내릴 경우, 기후위험 대응과 조직문화 혁신 모두가 가속될 수 있다. 미국과 일본 등 주요국에서도 폭염·태풍 등 자연재해 시 배달 안전 프로토콜이 강화되는 추세다.
한편, 우정사업본부는 안전권 강화를 위한 캠페인 및 안내 책임이 정책적으로 더욱 커지고 있다고 진단한다. 조해근 본부장은 “기후위기 시대, 집배원의 건강과 생명도 국민 안전 못지않다”며 “부득이한 지연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협조”를 당부했다.
전문가들은 “우편물 배송 현장에서 업무정지권이 실질적으로 작동한다면, 기후재난에 더 유연하게 대처하는 산업 문화로 바뀔 수 있다”고 내다보고 있다. 산업계는 이번 변화가 현장에 안정적으로 자리 잡을지 여부를 예의주시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