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외선 차단이 백내장 위험 줄인다”…의료현장, 생활습관 개선 강조
노화의 대표적 안과 질환 중 하나인 백내장이 더 이상 피할 수 없는 ‘노년의 숙명’에 머물지 않고 있다. 최근 의료계는 자외선 차단 등 일상에서의 생활습관 개선이 백내장 발생률을 낮추는 데 의미 있는 효과를 보인다고 주목한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전 세계 백내장 환자의 약 20%는 자외선 노출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이에 업계는 자외선 노출 최소화 관리가 질환 예방 경쟁의 분기점이 될 것이라는 입장이다.
백내장은 눈 속 투명한 수정체가 혼탁해져 시야가 흐려지는 질환으로, 연령 증가와 함께 발병 위험이 높아진다. 특히 자외선은 수정체 단백질의 변성과 혼탁 촉진에 직접 영향을 준다. 고대구로병원 안과 최광언 교수는 “백내장이 진행하면 시야가 뿌옇게 흐려지고, 빛에 민감해지는 눈부심, 복시(겹쳐보임) 등 증상까지 동반된다”며 “자단계적으로 증상이 악화되는 만큼, 조기 진단과 예방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기술적으로 백내장은 초기에는 뚜렷한 자각 증상이 적지만, 진행 시 시력 저하, 강한 빛에 대한 눈부심, 대비감 감소 등으로 일상생활의 질이 급격히 떨어진다. 기존에는 발생 후 수술적 치료가 주된 대응책이었지만, 최근 자외선 차단과 금연 등 생활습관 변화만으로도 위험성을 상당 부분 낮출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기존 이미지를 분석하면, 자외선 차단제 역할을 하는 선글라스나 모자 착용은 수정체의 노화를 막아주는 보호막 역할을 한다.
시장적으로 백내장은 노인 인구의 약 50%에서 확인될 만큼 높은 유병률을 보인다. 그러나 책이나 스마트폰 사용, 야간 운전 시 시야 흐림 등 이상 증상이 나타나도 조기 진단과 꾸준한 관리만으로 생활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수술 시에는 수정체를 제거하고 인공수정체를 삽입하는 방식이 표준 치료로 정착돼 있으며, 현대 장비의 발전으로 비교적 안전하게 이뤄진다.
국내외 의료계는 선글라스 등 자외선 차단용품 착용과 금연, 규칙적인 영양 관리 등 실생활 실천법을 계속 강조한다. 특히, 햇빛이 강한 오전 10시부터 오후 3시 사이 야외활동을 줄이고 자외선 차단 선글라스와 챙 넓은 모자를 활용하는 것이 예방에 핵심적이다. 미국·유럽 등 선진국에서도 국민 눈 건강 캠페인을 확대하며 예방 의학적 접근을 강화하고 있다.
정책적으로는 정부와 의료계가 정기적인 안과검진을 통한 백내장 조기 발견, 이상증상 시 맞춤형 치료 가이드 제공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이에 눈 건강을 위협하는 합병증(녹내장, 포도막염) 예방과 백내장 진행 속도 관리의 체계화 역시 주요 이슈로 부상한다.
전문가들은 “노년기 눈 건강 유지에서 예방의 의미가 점점 커지고 있다”며 “산업계는 일상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자외선 차단기기·건강관리 솔루션 개발에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산업계는 새로운 생활습관 변화가 백내장 위험 인자의 다각적 관리를 가능케 할지, 향후 시장의 변화에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