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러닝코어가 패션 이끈다”…크림, 러닝 탭 신설로 시장 공략
20·30대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러닝코어’ 패션이 급부상하면서, 중고 명품·운동화 거래 플랫폼 크림이 러닝화와 운동복 등 전용 상품을 위한 ‘러닝’ 탭을 도입하며 시장 확대에 나섰다. IT 기반 큐레이션 플랫폼이 MZ세대의 헬시플레저(건강을 즐겁게 관리하는) 트렌드에 발빠르게 대응하는 모습이다. 업계에서는 러닝 및 운동 아이템 시장이 ‘패션+웨어러블 IT’ 융합의 주도권 경쟁 구도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크림 측에 따르면 올해 플랫폼 내 ‘러닝’ 키워드 검색량은 전년 대비 270% 이상 증가했다. 관련 상품 거래액과 구매자 수도 각각 154%, 153% 뛰었다. 전체 구매자 중 72%가 20·30대로, 트렌드를 주도한 핵심 수요층이 확고히 형성된 결과다. 특히 30대 여성 구매자 수와 거래액이 각각 246%, 271% 폭증했고, 20대 여성도 높은 두 자릿수 성장세를 기록했다.

러닝 패션에서는 기능성 신발·의류와 일상복 스타일을 접목하는 ‘러닝코어’가 새 흐름으로 자리 잡는 추세다. 크림 내 거래 상위에는 나이키가 1위지만, 온러닝(온) 브랜드는 거래액 454%, 구매자 수 700% 급증하며 저변 확대를 보여줬다. 아식스 역시 거래액 665% 성장을 기록해 빠르게 3위에 올라섰다.
상품 구성의 변화도 뚜렷하다. 전체 러닝 상품 거래액 중 약 90%를 스니커즈가 차지했으나, 볼캡 거래액이 전년 대비 20배 이상으로 오르며 인기 카테고리 순위 3위로 급상승했다. 숏 팬츠, 경량 패딩, 트레이닝 재킷 등 러닝 패션 일상화가 판매를 견인한 가운데, 양말도 올해 처음으로 10위권에 진입했다. 이는 기능성 웨어와 액세서리군이 소비자 라이프스타일 전반으로 확장되고 있음을 방증한다.
이번에 신설한 ‘러닝’ 탭은 러닝 거리별·체형별 추천 러닝화 큐레이션, 신규 발매 상품, 인기 의류와 액세서리 정보 등 통합 서비스를 제공해, 사용자가 트렌드와 본인 맞춤 정보를 한눈에 얻을 수 있도록 차별화했다.
글로벌 운동·패션 브랜드 간 ‘러닝’ 시장 쏠림 현상은 IT 기반 리셀 플랫폼에서도 경쟁 구도로 확장되고 있다. 해외에서는 나이키와 아디다스, 아식스, 온 등 글로벌 브랜드가 러닝·일상 복합 시장에 특화된 디지털 추천 솔루션을 잇따라 다양화하고 있다. 국내 크림도 러닝코어 강화와 맞춤형 큐레이션 기능 도입으로 해외 시장 트렌드와 보조를 맞추는 양상이다.
전문가들은 “2030세대를 중심으로 한 헬시플레저와 러닝코어 트렌드가 플랫폼 내 스포츠·IT 융합 상품 및 서비스 확대를 주도할 것”이라며, “러닝이 단순 유행을 넘어 데이터 기반 맞춤 큐레이션, 웨어러블 및 라이프케어 산업까지 확장할 여지가 크다”고 분석했다.
산업계는 이번 크림의 러닝 탭 신설이 실제 시장 구조를 바꿀 게임체인저가 될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