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흡수통일 추구하지 않는다”…김남중 통일차관, 남북 적대행위 자제 천명

권혁준 기자
입력

남북관계의 긴장과 접경지역 주민들의 어려움을 둘러싸고 정부 인사와 지역사회가 해법을 모색했다. 김남중 통일부 차관은 10일 경기도 파주 캠프 그리브스에서 열린 ‘접경의 목소리, 평화를 말하다’ 토론회 축사에서 “북한의 체제를 인정하고 흡수 통일을 추구하지 않을 것이며 어떤 형태의 적대행위도 하지 않을 것”이라고 공식적으로 밝혔다. 

 

김남중 차관은 남북 간 대립과 접경지 피해의 현실을 언급하며, 지난 3년간 남북관계가 비정상적으로 악화된 배경을 짚었다. 그는 “윤석열 정부 당시 군이 대북확성기 방송을 재개하고 민간 단체들이 대북전단을 날리는 한편 북한은 오물풍선과 대남 소음방송으로 맞대응했다”고 되짚었다. 이어 “그 피해는 오롯이 접경지역 주민들이 감내해야 했다”며 “분단의 고통을 해결할 근본 방안은 한반도 평화 정착”이라고 강조했다.

이 자리에서 김남중 차관은 남북관계의 전환 필요성을 다시 한 번 역설했다. “지금은 지난 시기 대결과 단절의 남북관계를 대화와 교류, 협력의 관계로 전환해 나가야 하는 중요한 시기”라며 “평화가 일상이 되고 남북이 공동으로 발전할 수 있는 평화로운 한반도 시대를 열어나가기 위해 북한의 조속한 호응도 기대한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박정 의원(파주시을)도 축사를 통해 접경지역 주민 지원을 촉구하는 한편, “접경지역 주민들은 분단의 아픔을 가장 먼저 느끼고 안보를 위해 가장 많이 희생했지만 발전의 목표에서는 늘 제외돼왔다”며 민간인 출입 통제선(민통선) 북상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파주시 장단면 통일촌 이완배 이장, 해마루촌 조봉연 이장, 국내 유일 DMZ 내 대성동 김동찬 이장 등 현장 주민 대표를 비롯해 김대순 경기도 행정2부지사와 주민 60여 명이 참석했다.

 

정치권과 정부는 이번 논의를 계기로 남북관계 개선과 주민 지원 확대 방안을 검토할 전망이다. 접경지역 목소리가 실제 정책 변화로 이어질지 관심이 쏠린다.

권혁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김남중#통일부#박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