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테크로 소액 재테크”…캐시워크, 걷기·퀴즈 결합해 포인트 적립 경쟁 가세
디지털 전환이 일상에 깊숙이 자리 잡으면서 앱테크를 활용한 소액 재테크가 생활형 소비 트렌드로 부상하고 있다. 걷기·퀴즈·광고 시청 등 간단한 미션만으로 포인트를 적립하는 방식이어서 진입장벽이 낮고, 적립 포인트를 현금성 리워드나 상품 교환에 활용할 수 있어 이용자 저변이 확대되는 모습이다. 금융권과 유통업계에서는 이 같은 생활 밀착형 리워드 구조가 소비 패턴과 마케팅 전략 전반에 변화를 예고하는 신호로 해석하고 있다.
캐시워크에 따르면 11월 24일 13시 진행된 돈버는퀴즈에서는 PDRN 성분 화장품 프로모션과 연계한 문제가 출제됐다. ‘PDRN함량을 더 높여 X5배 강력해진 PDRN 인리치드 OOOO밤도 네이버 단독 할인가로 만나보세요’라는 문항의 정답은 ‘리커버리’로 제시됐다. 플랫폼은 특정 브랜드·상품 정보를 퀴즈 형태로 제공하면서 이용자에게는 포인트 적립 기회를, 광고주에게는 마케팅 노출 효과를 동시에 제공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앱테크 시장 전반에서는 광고 시청, 설문조사, 출석 체크, 건강 관리 미션 등 다양한 참여 방식이 등장하며 경쟁이 치열해지는 양상이다. 캐시워크의 돈버는퀴즈 역시 매일 걷기와 퀴즈 풀이를 결합해 캐시를 적립하도록 설계해 이용자 체류 시간을 늘리고, 적립한 포인트를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휴처를 넓혀가고 있다. 업계에서는 이 같은 보상형 광고 모델이 높은 금리와 물가 부담 속에서 소액이라도 지출을 줄이려는 소비자 심리와 맞물려 당분간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고 있다.
전문가들은 앱테크의 확산이 소액 리워드에 그치지 않고, 향후 금융·유통 데이터 축적과 맞춤형 마케팅 고도화로 이어질 소지가 있다고 분석한다. 다만 과도한 과금형 광고나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불투명성이 누적될 경우 소비자 피로도가 높아질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참여 방식과 퀴즈 운영 방식이 수시로 변경되고 일부 문제가 조기 마감되는 만큼, 이용자 입장에서는 보상 구조와 이용 조건을 꼼꼼히 확인하는 태도가 필요하다는 조언이 나온다.
향후 앱테크 플랫폼 간 제휴 경쟁과 리워드 차별화 수준에 따라 소비자 선택이 갈릴 가능성이 커지는 만큼, 시장에서는 관련 서비스의 수익 모델과 이용자 보호 장치 정비 방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