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PNG

ºC

logo
logo
“배기설비·공정까지 디지털 트윈”…SK AX, 제조 AX 고도화 선언
IT/바이오

“배기설비·공정까지 디지털 트윈”…SK AX, 제조 AX 고도화 선언

조보라 기자
입력

디지털 트윈 기술이 제조 산업의 설비 운영 패러다임을 근본적으로 바꾸고 있다. SK AX는 28일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을 결합한 ‘배기 유틸리티 설비 디지털 트윈 플랫폼’ 개발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제조 공정 내 필수 인프라인 배기 설비를 실시간 데이터와 시뮬레이션 기술로 관리, 설비 안전성은 물론 친환경 규제 대응력까지 강화할 전략이다. 업계는 SK AX의 이번 발표를 “제조 공정 디지털 전환 경쟁의 분기점”으로 평가하고 있다.  

  

SK AX가 개발하는 디지털 트윈 플랫폼은 공장 내 유해가스, 오염입자, 악취 물질 등 배출 관리 설비를 3D 가상 환경에 사실적으로 구현한다. 실제 설비의 압력, 온도, 진동, 유해물질 농도를 IoT 센서와 영상 AI, 열화상 카메라로 실시간 수집하고, 이를 가상 공간과 동기화해 설비 상태를 정밀하게 추적·분석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압력계·댐퍼·덕트 등 핵심 장비별 이상 징후도 즉시 감지할 수 있으며, 장치별 시각화까지 지원한다.  

  

기존 배기 설비 운용은 대체로 장비 경험과 사후 점검에 의존해 왔다. 반면 디지털 트윈 기반 플랫폼에서는 운영 조건 변화를 수치로 가상 실험하고, AI가 설비 제어 방안을 제안한다. 산업계 관계자는 “제조 현장의 돌발 중단, 환경 배출 초과 등 리스크를 사전에 예측하고 선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는 점이 기술적 혁신”이라고 분석한다. 실제로 에너지 사용량도 줄이고, 설비 수명 예측이나 유지보수 효율화도 가능해진다는 평가가 나온다.  

  

최근 글로벌 시장에서는 미국, 독일 등 선진 제조 기업들이 배기·환경 설비까지 통합 제어하는 스마트 팩토리 경쟁이 본격화됐다. 해외 사례와 견줘, SK AX의 디지털 트윈 플랫폼은 주요 장비 연동성과 시뮬레이션 정밀도 측면에서 경쟁력을 갖췄다는 평가다.  

  

향후 배기 유틸리티 설비뿐 아니라 전 생산라인의 설비 관제 및 AI 기반 제어로 플랫폼을 확장한다는 계획이어서, 업계는 데이터 수집과 국제 환경 규제 준수 등 실질적 성과 도출 가능성에 주목한다. 국내에서는 환경부, 산업부 등 부처가 디지털 전환된 설비 관리 기준과 데이터 인증 체계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다.  

  

김광수 SK AX 제조서비스부문장은 “설비 구조 복제에 그치지 않고, 데이터를 근거로 설비와 공정을 실제 운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디지털 트윈 기반 AX 기술 확산에 따라 생산 수율, 리스크, 환경 대응 등 제조 산업 전반의 경쟁력 혁신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산업계는 이번 설비 디지털 트윈 기술이 스마트 공장 내 안착할 수 있을지에 주목하고 있다. 기술과 데이터, 현장 실행 간 균형이 제조업 디지털화의 핵심 조건으로 자리잡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조보라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skax#디지털트윈#제조a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