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주군, 울주복지재단에 복지관 8곳 위탁 운영…주민 통합복지 강화 나서
지역 복지 거점 운영을 둘러싸고 지방자치단체와 공공재단이 맞붙었다. 울산 울주군과 울주복지재단이 복지관 8곳을 한꺼번에 묶어 위수탁 협약을 체결하면서, 지역 복지 체계 개편이 본격화되고 있다.
울산 울주군은 25일 울주복지재단과 울주군 내 지역 복지관 8곳에 대한 위수탁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식에는 이순걸 울주군수와 오세곤 울주복지재단 대표이사 등이 참석해 운영 기간과 역할 분담을 확정했다.

협약 대상 시설은 종합사회복지관 3곳 서부·남부·중부, 노인복지관 3곳 서부·남부·중부, 장애인복지관 2곳 서부·중부 등 총 8곳이다. 울주복지재단은 협약에 따라 내년 1월부터 2030년 12월까지 5년간 이들 복지관 운영을 책임지게 됐다.
울주군과 울주복지재단은 새 위탁 체계를 토대로 지역 복지수요에 보다 적극 대응하고, 주민 중심의 통합 복지서비스 체계를 강화하겠다는 방침을 내놨다. 복지관 간 중복 기능을 조정하면서도, 권역별 특성을 살린 맞춤형 서비스로 연결하겠다는 구상이다.
이순걸 울주군수는 "이번 협약을 통해 지역 복지서비스가 한층 더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제공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주민 복지 증진을 위해 울주복지재단과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 군수 발언에는 복지관 운영 주체를 재정비해 군 차원의 정책 추진력을 높이겠다는 의도가 담긴 것으로 해석된다.
오세곤 울주복지재단 대표이사는 "군민의 복지 향상을 위해 복지관 8곳이 복지 거점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책임감을 갖고 운영하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울주군 전체를 아우르는 재단 운영 경험을 기반으로, 각 복지관의 전문성을 높이겠다는 뜻으로 보인다.
울주군은 향후 복지관별 프로그램 조정과 인력·예산 배분 등을 울주복지재단과 협의해 구체화할 계획이다. 정치권에서도 지방정부 복지 인프라 개편 흐름에 따라 유사 사례가 확대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울주군은 위수탁 전환 이후 성과를 분석해 복지정책 전반에 반영하겠다는 입장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