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 시총 4조달러 돌파에도 지수 하락”…미국 증시, AI·반도체 약세에 변동성 확대
현지시각 31일, 미국(USA) 뉴욕증권거래소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MS)가 글로벌 기업 중 두 번째로 시가총액 4조달러를 돌파하는 사상적 기록을 세웠지만, 다우존스, S&P500, 나스닥 등 3대 주요 지수가 동시에 하락 마감하는 이례적 장세가 연출됐다. 이번 조치는 AI·반도체 업종 약세와 인플레이션 우려,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 감소 등 복합적 요인이 투자심리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현지시각 기준 31일,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330.30포인트(0.74%) 하락한 44,130.98에 마감했다. S&P500지수는 23.51포인트(0.37%) 내린 6,339.39, 나스닥지수는 7.23포인트(0.03%) 하락한 21,122.45를 기록했다. 이날 ‘MS’는 2분기 호실적을 바탕으로 한때 8.22%까지 급등, 장중 시총 4조달러를 돌파했다. 이는 지난 6월 초 엔비디아(Nvidia) 이후 두 번째 사례다. 그러나 심리적 저항선 돌파 이후 차익실현 매물이 대거 출회되며 상승폭이 축소, 3.93% 강세로 마감했다.

메타(Meta)는 연간 설비투자 상향과 영업이익률 호조에 힘입어 11.25% 급등하며, 투자자들의 AI분야 성장 기대를 입증했다. 반면, 두 회사 외 주요 AI 및 반도체주는 전반적 실적 부진에 3% 이상 하락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30개 종목 중 29개가 약세를 보였고, Arm은 실적·가이던스 실망에 13.44% 폭락했다. AMD, ASML, 퀄컴 등도 동반 하락했다.
의료·바이오업종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글로벌 제약사 가격 인하 요구로 투자심리가 크게 위축됐다. 의료건강 업종 전체가 2.79% 내리는 등, 업종별로는 통신서비스·유틸리티만 소폭 올랐고 대다수 섹터가 약세를 나타냈다.
이날 애플(Apple)과 아마존(Amazon)도 장 마감 이후 실적을 공개, 각각 시장 기대를 상회하는 호실적을 발표해 추가 주목받고 있다. 애플은 전년 대비 10% 증가한 매출 940억4천만달러, EPS 12% 증가를 시현했고, 아마존도 매출, EPS 모두 전망치를 상회하며 초격차를 입증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이날 멕시코(Mexico)에 대한 상호관세 25% 부과 정책을 90일간 연장하기로 발표해 무역환경에 변수로 작용했다. 이는 당초 8월 1일 30%로 인상 계획이 보류된 것이다.
미국 경제지표 중 6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는 근원 기준 전월 대비 0.3%로, 5월의 0.2%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시장은 소비 개선 속 인플레이션 압력이 확대됐다는 평가를 내놨다. 이에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9월 기준금리 25bp 인하 가능성을 전일 46.7%에서 39%로 하향 조정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지수(VIX)도 8.01% 뛰어 16.72를 기록, 투자자 불확실성을 반영했다.
뉴욕타임스와 CNBC 등 주요 외신은 “MS·메타 등 빅테크 실적을 제외하면 AI와 반도체 섹터 전반에 불안감이 퍼지고 있다”며 “짙어진 인플레이션과 통화정책 불확실성이 투자심리를 위축시킨다”고 평했다.
전문가들은 “견고한 실적과 설비투자 확대에도 불구, 금리와 인플레이션 부담에 시세조정이 불가피했다”고 진단했다. “하락 폭이 제한적이지만, 시장이 연준의 인하 시그널을 확신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향후 주식시장 역시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도 나온다.
AI 핵심주 실적 흐름과 인플레이션 향방, 금리 인하 가능성이 미국(USA)은 물론 글로벌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이 주목된다. 전문가들은 앞으로도 미국증시 중심으로 AI·반도체, 인플레이션과 금리 정책 변수에 촉각이 곤두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