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유심 재고 90만 개 그쳐”…김현, KT 해킹 사태 2차 피해·대책 미흡 지적

배진호 기자
입력

KT의 대규모 해킹 사태와 맞물려 가입자 개인정보 유출 논란이 확산되는 가운데, 교체용 유심(USIM) 확보 물량이 전체 가입자의 3%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유심 부족에 따른 2차 피해 우려가 커지며, 국회에서 KT 대응을 둘러싼 비판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김현 의원은 14일 국정감사 자료를 통해 “KT가 보유한 유심 재고는 약 90만 개로, 전체 가입자 2천700만 명의 3.3%에 그친다”고 밝혔다. 이런 상황에서 KT는 최근 해킹에 노출된 고객 362명이 약 2억4천만 원의 무단 소액결제 피해를 입었고, 2만30명의 이용자 개인정보가 유출됐다. 유출된 정보에는 휴대전화 번호, 국제이동가입자식별정보(IMSI), 국제단말기식별번호(IMEI) 등이 포함돼 2차 피해 가능성이 여전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김 의원은 “KT 해킹으로 통신망 복제, 사칭, 스미싱 등 2차 피해 우려가 여전하다”며 “과거 유사한 해킹 피해를 겪었던 SK텔레콤이 유심 교체 등 전면적 고객 보호에 나섰던 사례와 비교해, KT의 대응은 지나치게 소극적”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사태가 악화해 유심 교체 요청이 급증할 경우, 현행 재고로는 가입자 불편이 심각해질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정치권에서는 통신사의 개인정보 보호와 피해자 구제 조치 등 전면적 개선책 마련을 촉구하는 분위기다. 더불어, 대규모 해킹 피해가 잇따르는 가운데 유심 등 핵심 인프라의 사전 확보와 긴급 대책이 시급하다는 목소리도 힘을 얻고 있다.

 

이번 사태로 가입자 불안감이 높아지면서 정부와 국회, 통신사 모두 책임 있는 조치와 추가 피해 방지 대책 논의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배진호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김현#kt#유심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