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심 재고 90만 개 그쳐”…김현, KT 해킹 사태 2차 피해·대책 미흡 지적
KT의 대규모 해킹 사태와 맞물려 가입자 개인정보 유출 논란이 확산되는 가운데, 교체용 유심(USIM) 확보 물량이 전체 가입자의 3%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유심 부족에 따른 2차 피해 우려가 커지며, 국회에서 KT 대응을 둘러싼 비판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김현 의원은 14일 국정감사 자료를 통해 “KT가 보유한 유심 재고는 약 90만 개로, 전체 가입자 2천700만 명의 3.3%에 그친다”고 밝혔다. 이런 상황에서 KT는 최근 해킹에 노출된 고객 362명이 약 2억4천만 원의 무단 소액결제 피해를 입었고, 2만30명의 이용자 개인정보가 유출됐다. 유출된 정보에는 휴대전화 번호, 국제이동가입자식별정보(IMSI), 국제단말기식별번호(IMEI) 등이 포함돼 2차 피해 가능성이 여전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김 의원은 “KT 해킹으로 통신망 복제, 사칭, 스미싱 등 2차 피해 우려가 여전하다”며 “과거 유사한 해킹 피해를 겪었던 SK텔레콤이 유심 교체 등 전면적 고객 보호에 나섰던 사례와 비교해, KT의 대응은 지나치게 소극적”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사태가 악화해 유심 교체 요청이 급증할 경우, 현행 재고로는 가입자 불편이 심각해질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정치권에서는 통신사의 개인정보 보호와 피해자 구제 조치 등 전면적 개선책 마련을 촉구하는 분위기다. 더불어, 대규모 해킹 피해가 잇따르는 가운데 유심 등 핵심 인프라의 사전 확보와 긴급 대책이 시급하다는 목소리도 힘을 얻고 있다.
이번 사태로 가입자 불안감이 높아지면서 정부와 국회, 통신사 모두 책임 있는 조치와 추가 피해 방지 대책 논의가 본격화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