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PNG

ºC

logo
logo
“비핵화는 허망한 망상”…북한, 이재명 대통령 발언에 강력 반발
국제

“비핵화는 허망한 망상”…북한, 이재명 대통령 발언에 강력 반발

조수빈 기자
입력

현지시각 27일, 북한은 최근 방미 일정에서 이재명 대한민국 대통령이 비핵화 의지를 밝힌 것에 대해 “너무도 허망한 망상”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조선중앙통신은 “국위이고 국체인 핵을 영원히 내려놓을 생각이 없다”고 강조하며, 한반도 비핵화는 실현 불가능한 요구라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이번 논평은 이 대통령이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연설에서 북한을 “가난하지만 사나운 이웃”이라 표현한 데 대한 직접 반발로, 남한과의 대결 노선을 재확립하는 동시에, 한국의 대미 태도를 “정치적 가난뱅이”라 조롱하는 등 강도높은 비난을 쏟아냈다.

 

북한은 ‘외부의 적대적 위협’과 ‘세계 안보환경 변화’를 핵 보유의 당위성으로 제시하며, 한미 양국의 연합압박이 계속되는 한 비핵화 요구에는 절대 응하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또한 이재명 대통령 집권 초기 ‘조한관계’ 개선 의지가 곧 ‘적대정책’으로 변질됐다며, 현정부 대북정책 역시 강하게 비판했다.

출처: 연합뉴스
출처: 연합뉴스

이러한 북한의 입장은 통상적인 대미 비난을 자제한 점에서 주목된다. 북한은 이번 논평에서 한미 정상회담이나 도널드 트럼프(Trump) 미국 대통령의 북미 대화 의지에 대한 언급, 혹은 대미 적대적 발언을 의도적으로 삼갔다. 노동신문 등 내부매체에 이 논평을 싣지 않은 점 역시 미국과의 직접 대화를 차단하지 않겠다는 신중한 대외전략의 일환으로 해석되고 있다.

 

워싱턴포스트 등 외신은 “북한이 북미 대화 재개의 카드로 대남 강경 메시지와 대미 유화 시그널을 병행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재집권 가능성, 한미 동맹구도 변화 등 복합적 안보변수 속에서 북한이 마지노선 전략을 택한 것으로 본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총장 역시 “북한의 무반응 기조는 내부적 검토와 함께 미국에 대한 명확한 정책변화를 우선 요구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번 북한의 대응이 한반도 긴장구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그리고 향후 북미 대화의 성사 여부에 국제사회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조수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북한#이재명#비핵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