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정상, 오벌 오피스서 30분 담판”…이재명·트럼프, 단독회담 후 오찬회담 돌입
한미 정상 간 소통 채널이 다시 한번 미국 백악관 오벌 오피스에서 열렸다.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미 정상회담 일정을 최종 확정하며, 양국 정치 지도자가 주요 외교 현안을 두고 직접 얼굴을 맞댄다. 이번 회담 일정이 공식화되면서 그 배경과 의미에 대한 분석이 이어지고 있다.
백악관은 미 동부시간으로 8월 25일 낮 12시15분, 한국시간으론 26일 오전 1시15분에 정상회담이 시작된다고 24일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정오 백악관에서 이재명 대통령을 맞이한 뒤, 오벌 오피스에서 단독 정상회담에 나선다는 일정이다. 이 자리에는 백악관 풀기자단도 참석해, 회담 장면이 언론에 실시간으로 전달될 전망이다. 회담은 30분가량 진행된다.

현지 설명에 따르면 통상 이런 형식의 정상회담은 모두발언 이후, 트럼프 대통령이 “질문 있느냐”고 물으며 취재진과의 질의응답 순서가 마련된다. 질문할 기자는 트럼프 대통령의 손짓이나 눈짓으로 지정되며, 실시간 생방송으로 공개되는 경우가 많다. 질의응답 개수와 시간은 트럼프 대통령의 결정에 따라 유동적이다.
두 정상의 회담이 끝나면, 12시45분부터 백악관 캐비닛룸으로 자리를 옮겨 오찬을 겸한 비공개 확대회담이 이어진다. 이번 오찬 회담은 언론에 비공개로 진행된다.
한미 정상회담의 공식 일정은 이 시점까지로 확인됐다. 별도의 공동기자회견은 예정돼 있지 않아, 회담 결과와 주요 메시지는 각국 공식자료와 언론 브리핑을 통해 확인될 예정이다.
정치권에서는 공동기자회견이 빠진 일정에 주목하고 있다. 대내외 현안을 신속하게 조율하는 실무형 외교가 강조된 결과라는 해석과 함께, 일부에선 한미 동맹 메시지 조율과정에서의 신중기류가 감지된다는 시각도 나온다.
이에 따라 회담 이후 발표될 양국 입장문이 이번 정상회담의 메시지를 가늠할 핵심 지표가 될 전망이다. 정부는 정상회담 직후 추가 브리핑을 통해 주요 쟁점을 설명하고, 한미 동맹의 구체적 강화 방안을 소개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