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북미정상회담 성사 위해 외교 집중해야”…정동영, 日대사에 협력 요청
정치

“북미정상회담 성사 위해 외교 집중해야”…정동영, 日대사에 협력 요청

장서준 기자
입력

북한 비핵화 해법을 두고 외교적 전환을 강조하는 정동영 통일부 장관과 일본 정부가 1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만났다. 북미정상회담 추진을 둘러싸고 정부 간 입장 차가 부각되는 가운데, 정 장관은 미즈시마 고이치 주한일본대사에게 대북 지원과 외교적 지지 강화를 요청했다.

 

정동영 장관은 모두발언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미정상회담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연내에 만나고 싶다고 밝혔다"며 "우리 정부도 노력하겠지만 일본 정부도 북미 정상회담이 이뤄지도록 지지와 지원을 아끼지 말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최근 중국 전승절 행사에서 북한, 중국, 러시아 정상이 한 무대에 선 상황을 거론하며, "제재 일변도의 대북 정책은 물 건너가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정 장관은 "2006년 1차 핵실험 이후 20년간 국제사회가 유엔을 중심으로 열 차례 넘는 제재를 가했지만, 압박과 봉쇄로 비핵화에 접근하는 정책은 실패로 끝났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바뀐 정세에 맞게 지금은 외교의 시간이 도래했다"며 "일본 정부도 북한 문제 해결에 외교력을 집중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에 미즈시마 고이치 대사는 일본 입장을 재확인하며, "일본은 납치, 핵, 미사일 문제를 포함해 종합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북한과 과거를 청산해 국교 정상화를 이루겠다는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북미 정상회담 추진과 관련해선 "일본과 한국, 그리고 미국이 포함돼 잘 의사소통하고 협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또한 미즈시마 대사는 "대북 제재 추진 방식도 향후 한국, 미국 등 유사입장국들과 긴밀하게 조율해 가겠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일본 정부가 중시하는 납치 문제와 관련해 "한국 정부의 전면적인 지지에 감사한다"고 밝혔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양국이 한미일 공조와 더불어 외교적 전환에 방점을 찍으며, 경색된 북핵 국면에 변화의 계기가 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그러나 북미정상회담 성사까지는 각국의 전략적 셈법이 맞물린 변수가 여전하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정부는 앞으로도 한일 간 긴밀한 소통을 유지하며, 북미 정상회담 성사를 위한 외교적 노력을 이어갈 방침이다.

장서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정동영#미즈시마다사#북미정상회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