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제조업 르네상스에 동참 희망”…이재명, 트럼프와 첫 정상회담서 한미 협력 강조
정치적 신뢰와 한반도 평화를 두고 대한민국 이재명 대통령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첫 정상회담에서 맞붙었다. 한미 양국 정상은 경제 협력 확대와 한반도 평화 정착을 핵심 의제로 논의하며 양국 관계와 한반도 정세의 중대한 변곡점에 섰다.
25일(현지시간) 미국 백악관 오벌오피스에서 진행된 한미정상회담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조선 분야 뿐 아니라 제조업 분야에서도 르네상스가 이뤄지고 있고, 그 과정에 대한민국도 함께하게 되길 기대한다”고 발언했다. 이 대통령은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만드는 것이 우리 대통령님의 꿈으로, 미국이 다시 위대하게 변하고 있는 것 같다”고 언급하며 한미 경제 동반 성장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이어 이재명 대통령은 “세계 지도자 중 트럼프 대통령만큼 전 세계의 평화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실제 성과를 낸 이는 처음”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가급적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분단국가로 남아 있는 한반도에도 평화를 만들어달라”고 트럼프 대통령에게 요청했다.
또한 이재명 대통령은 “김정은(북한 국무위원장)도 만나시고, 북한에 트럼프 월드도 하나 지어서 저도 거기서 골프도 칠 수 있게 해주시고 세계사적인 평화의 메이커 역할을 꼭 해주시길 기대한다”고 직접 언급했다. 이 같은 발언은 트럼프 대통령이 한반도 평화의 중재자 역할을 적극적으로 맡아줄 것을 촉구하는 의도로 해석된다.
이번 한미정상회담에서 양국 정상은 경제, 외교, 안보 이슈 모두에서 기존 협력 구도를 유지하되, 한미가 공동 번영을 추구하는 파트너임을 재확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미국 제조업 르네상스와 한반도 평화 문제가 긴밀히 연결될 경우, 한국 경제와 외교의 새로운 장이 열릴 수 있다는 기대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트럼프 대통령의 대북 접근 및 한미동맹에 대한 기존 정책 기조가 어떠한 변화를 보일지 신중한 관찰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다.
한미 정상의 이번 면담은 향후 양국 협력 관계의 물꼬를 트는 한편, 북미 관계, 남북 대화에도 새로운 동력을 제공할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정부는 한미 정상회담의 후속 협의와 함께, 북미 관계 변화에 대비해 다양한 외교 전략을 검토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