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웰 칩 중국 수출 논의 중”…엔비디아, 트럼프 행정부와 기술 규제 완화 기대감
현지시각 28일, 미국(USA)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Nvidia)의 젠슨 황(Jensen Huang) 최고경영자는 자사 신형 인공지능(AI) 칩 ‘블랙웰(Blackwell)’의 중국(China) 수출 방안을 트럼프 행정부와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최근 미·중 간 기술 수출 규제 완화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직접적 파장이 예상된다.
황 CEO는 미국 내 방송 인터뷰에서 “블랙웰 칩의 중국 판매에 대해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며 구체적인 허가 일정은 확정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초 저사양, 성능 제한이 이뤄진 칩에 한해 중국 수출 허용을 검토할 의사를 밝힌 바 있어, 엔비디아도 기존보다 30~50% 성능이 낮은 맞춤형 칩을 개발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논의는 바이든(Biden) 정부 시기부터 이어져온 첨단 반도체 대중 수출 통제 정책의 연장선에서 발생했다. 미국은 중국의 AI·슈퍼컴퓨터 경쟁력 부상을 견제하며, 고성능 칩 수출을 엄격히 제한 중이다. 엔비디아는 과거에도 ‘A100’ 등 주력 칩이 제재 대상에 오르자 중국 전용 하위 버전인 ‘H20’를 출시해 수출 길을 모색해왔다.
트럼프 행정부와의 대화는 글로벌 AI 주도권 및 첨단 반도체 공급망 안정화 등 미국 내 기술 패권 전략의 변화를 예고한다. 엔비디아 측은 “미국 기술이 국제표준이 되는 것이 장기적으로 미국의 AI 경쟁력에 도움이 된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조치는 중국 중심 공급망 재편의 신호탄이 될 수 있다.
한편, 황 CEO는 2분기 실적 발표에서 “중국 내 H20 칩 판매 실적이 없었으나, 앞으로 주문에 대한 기대감이 있다”고 밝혔다. H20는 중국 시장용 저사양 AI 칩으로, 지난 4월 일시적 수출 중단 조치 이후 7월부터 규제 완화에 따라 판매 재개가 허용됐다.
CNN 등 미국 주요 매체는 “미중 기술전쟁이 숨고르기에 들어갔다”며, 기업별 공급 전략 변화에 주목하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엔비디아의 기술이 여전히 중국 내 AI 개발의 핵심”이라고 평가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논의가 미·중간 AI 분야 디커플링 속도에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 황 CEO는 AI와 자동화가 산업 전반에 긍정적 파급효과를 미칠 것이라며 “생산성 증대로 미래의 주 4일 근무도 가능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엔비디아는 미·중 기술정책 변화에 따라 전략적 발주조정과 제품 현지화로 글로벌 AI 시장 리더십 유지를 겨냥하고 있다. 이번 조치가 향후 국제 반도체·AI 공급망 질서에 어떤 변화를 초래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