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아이폰 판매 호조에 분기 역대급 실적”…애플, 2분기 매출 급증에 투자심리 개선
국제

“아이폰 판매 호조에 분기 역대급 실적”…애플, 2분기 매출 급증에 투자심리 개선

조민석 기자
입력

2025년 7월 31일(현지시각), 미국(USA) 캘리포니아에서 애플(Apple)이 2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4~6월 분기 매출이 944억4천만 달러로 집계돼, 전년 동기 대비 9.6% 증가하며 2021년 4분기 이후 최대 성장률을 보였다. 이번 실적 발표는 관세 부담 등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아이폰16 등 주요 제품 판매 호조가 이끌었으며, 투자자와 시장에 긍정적인 신호를 보냈다.

 

현지시간 기준 2분기 애플의 주당 순이익은 1.57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시장조사 업체 LSEG의 예상치(1.43달러)를 상회하는 결과로, 매출 역시 시장 전망(895억3천만 달러)보다 5% 이상 많았다. 아이폰 매출이 13% 증가한 445억8천만 달러를 기록해 가장 큰 성장 동력이 됐으며, 서비스 부문도 13% 상승한 274억2천만 달러로 시장의 기대를 넘어섰다. 맥(Mac) 매출도 80억5천만 달러로 두 자릿수 상승폭을 기록했다.

‘애플’ 2분기 매출 9.6%↑…아이폰 판매 호조에 시간외 주가 2% 상승
‘애플’ 2분기 매출 9.6%↑…아이폰 판매 호조에 시간외 주가 2% 상승

애플은 앞서 2분기 관세 부담이 9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고했음에도 불구하고 선방했다. 팀 쿡(Team Cook) 최고경영자(CEO)는 CNBC와 인터뷰에서 “어떤 기준으로 봐도 뛰어난 분기였다”며, “관세 우려로 일부 소비자들이 제품을 미리 구매한 영향이 매출 성장에 약 1%포인트 기여했다”고 밝혔다. 쿡 CEO는 특히 “아이폰16이 이전 모델 대비 높은 인기를 기록했고, 교체 수요 역시 견조했다”고 덧붙였다.

 

주요 시장 중에서는 중국(China)에서 반전이 확인됐다. 홍콩과 대만을 포함한 대중 매출이 153억7천만 달러로 4% 증가하며 최근 두 분기 연속 하락세에서 상승 전환했다. 쿡 CEO는 “중국 당국의 보조금 정책이 긍정적으로 작용했다”고 평가했다.

 

다만 제품군별로 보면 아이패드와 워치(기타 제품) 매출은 각각 시장 전망에 미치지 못했다. 총 마진율은 46.5%로 시장 기대치를 상회, 수익성 개선세를 이어갔다.

 

이번 실적 발표 직후 애플 주가는 뉴욕증시 정규장에서 0.71% 하락했다가, 시간외 거래에서 2%가량 상승하는 등 투자심리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 CNBC, 뉴욕타임스 등 주요 외신은 “예상을 뛰어넘은 실적으로 애플이 성장세를 재확인했다”고 평가했다.

 

앞으로도 관세 부담, 제품 경쟁, 지역별 매출 변화 등 불확실성이 변수로 지적된다. 전문가들은 “이번 분기 호실적이 지속될지, 경쟁 심화 속에서 애플이 어떤 전략으로 대응할지 주목된다”고 진단했다.

조민석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애플#아이폰16#팀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