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걷고 퀴즈 풀면 포인트 적립”…캐시워크, 앱테크 재테크 수단으로 부상

문경원 기자
입력

디지털 금융 확산과 함께 소액으로 시작하는 재테크 수단인 앱테크 활용이 확산하고 있다. 출석체크나 간단한 퀴즈 참여만으로 포인트를 쌓을 수 있어 부담이 적은 데다, 생활비 보전 수단으로 쓰이면서 젊은 층을 중심으로 참여가 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플랫폼 간 경쟁이 심화하는 가운데 이용자 보상 구조가 어떻게 진화할지 주목된다.

 

2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캐시워크가 운영하는 돈버는 퀴즈는 매일 걷기와 다양한 퀴즈 참여를 통해 캐시를 적립하는 구조를 제공하고 있다. 사용자는 걸음 수에 따라 포인트를 쌓고, 정해진 시간에 공개되는 퀴즈를 풀면 추가 보상을 받을 수 있다. 퀴즈 운영 방식은 수시로 개편될 수 있으며, 일부 문항은 조기 마감되는 방식으로 참여 유인을 높이고 있다.

이날 오후 5시 진행된 11월 21일 캐시워크 돈버는 퀴즈에서는 건강기능식품 브랜드 종근당건강의 유산균 제품 프로모션 내용이 출제됐다. 문제는 대한민국 1등 유산균을 내세운 종근당건강의 락토핏 골드 120포 3통과 락토핏 코어 60포 증정 구성의 초특가 판매 가격을 묻는 형식이었다. 정답은 56,900으로 안내됐다.

 

앱테크 구조는 대체로 광고 시청, 설문조사 참여, 출석 체크 등 이용자 참여를 전제로 한다. 플랫폼은 광고주로부터 받은 수익 일부를 포인트 형태로 이용자에게 돌려주는 방식이다. 이용자는 적립한 포인트를 상품권 전환, 쇼핑, 간편결제 등에 활용하며 소액 재테크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경기 둔화와 고금리 기조 속에 생활비 부담이 커지면서 이 같은 소액 보상형 서비스 수요가 유지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전문가들은 앱테크가 소액 재테크 수단으로 자리 잡았지만, 과도한 시간 투자에 비해 수익 규모가 크지 않은 점, 개인정보 제공 범위 확대 가능성 등 구조적 한계도 지적한다. 동시에 데이터 기반 맞춤형 광고와 리워드가 결합된 모델이 더욱 세분화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내놓는다.  

 

시장에서는 향후 앱테크 플랫폼 간 제휴 마케팅 경쟁과 함께, 이용자 보호를 위한 보상 체계와 개인정보 관리 기준 정비 여부에 관심을 두고 있다.

문경원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캐시워크#돈버는퀴즈#락토핏골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