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 없는 사업은 없다”…국회서 건설사 CEO들, 산재 대책 내놔
중대재해 문제를 둘러싸고 국회와 주요 건설사 최고경영자들이 정면충돌했다. 13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 국내 주요 건설사 대표들이 대거 증인으로 출석하면서, 산업재해 발생 책임과 향후 대책을 두고 긴장감이 고조됐다. 이재명 대통령이 연이어 강경대응을 주문한 데 따른 정치권 압박 속에, “안전 없는 사업은 없다”는 위기의식도 분명하게 드러났다.
송치영 포스코이앤씨 대표이사 사장은 “중대재해를 일으킨 데 대해 송구한 마음이며 대표이사로서 책임감을 느낀다”고 밝혔다. 포스코이앤씨 측은 최근 잇따른 노동자 사망 사고로 논란에 섰다. 이에 앞서 지난 7월 이재명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이라는 표현까지 동원하며 경영진 책임을 강력하게 질타한 바 있다.

이어 고용노동부는 지난달 산업재해 반복 기업에 영업이익의 5% 이내 과징금, 등록 말소 등 징계 절차를 포함한 노동안전 종합대책을 내놓았다. 건설업계 전반에 강도 높은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이날 CEO들은 “위기의식”을 숨기지 않았다.
송 사장은 “사고 발생 이후 모든 현장을 일시 중단시키고, 안전 전문 진단을 거쳐 한 달 만에 재개했다”고 설명했다. “조기 경영 정상화로 손실을 만회하겠다”며, 안전경영 원칙을 강조했다. 그는 “직원들은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실제로 갖고 있다. 대표이사로서 안전이 회사의 나아갈 길임을 공유하는 데 힘 쓰고 있다”고 했다.
김보현 대우건설 대표이사 사장은 산재 사고가 줄지 않는 현상에 “안전 확보 의무에 소홀했다는 관점도 분명 존재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국민의힘 정점식 의원 질의에 김 사장은 “안전이 보장되지 않고서는 어떤 사업도 할 수 없다는 위기의식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날마다 살얼음판을 걷는 듯한 불안감 속에서 건설사뿐 아니라 관리자의 책임도 함께 면밀히 들여다봐 달라”고 요청했다.
조태제 HDC현대산업개발 최고안전책임자는 두 차례 현장 사고 경험을 언급하며 “경영에 미친 위협을 절감하고 있다”며, “근로자 부주의까지 포함해 재해 예방 조치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겠다”고 전했다.
현대엔지니어링의 주우정 대표 역시 최근 교량 붕괴 사고 이후 “무겁고 깊은 책임감을 느낀다”며 “안전과 품질이 생존의 기본, 최고의 가치임을 조직에 정착시키겠다”고 강조했다.
정치권은 이날 건설사들의 안전 의식 고취와 함께, 산재 반복 업체에 대한 강력한 제재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다만 건설사 측은 “부주의까지 포함한 무한 책임은 어렵다”는 입장도 내비쳤다. 한편 국회는 향후 기업 책임 범위 및 안전제도 실효성 제고 방안 논의를 이어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