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대중화, 카카오톡도 변신”…카카오-오픈AI 프로젝트 공개
카카오가 9월 23일부터 25일까지 경기 용인 카카오 AI캠퍼스에서 개최하는 연례 개발자 컨퍼런스 ‘이프 카카오(if kakao 25)’를 통해 인공지능(AI) 기반의 카카오톡 개편과 오픈AI와의 공동 프로젝트를 최초로 공개한다. 업계에서는 이번 행사를 “국민 메신저 서비스의 패러다임 변환점”으로 평가하며, 카카오의 AI 기술 상용화와 플랫폼 전략의 신호탄이 될지 주목하고 있다.
행사 첫날에는 카카오 대표가 직접 카카오톡 개편 로드맵과 신규 AI 서비스를 발표한다. 오픈AI와 공동 개발 중인 프로덕트도 베일을 벗는다. 카카오톡 내 AI 챗봇, 콘텐츠 추천, 비서 기능 등 실생활 접점의 AI 서비스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이어서 최고제품책임자가 구체적인 서비스 디자인과 개편 방향, 카나나 성과리더는 카카오가 자체 개발한 대형 언어모델(Large Language Model, LLM) ‘카나나’의 고도화 결과를 중점 소개한다.

둘째 날에는 카나나 모델의 실제 적용 사례와 개발 전략, 에이전틱 AI(Agentic AI, 자체 판단과 실행을 하는 인공지능) 구현 방식 등이 집중 논의된다. 이상호 성과리더가 AI 윤리와 안전 대책, 최고기술책임자가 인프라부터 서비스 전 영역에 AI를 접목한 1년간의 성과를 내놓는다. 특히 이번 기술은 온디바이스 AI(기기 내장형 인공지능), 개방형 MCP(Multi-Agent Cooperation Platform) ‘플레이MCP’ 등 독자 생태계를 구축하며 기존 ‘클라우드 기반’ 의존도를 줄이는 한계를 극복했다.
기조 세션에서는 카카오의 AI 기술 전략, 신규 서비스, 광고·디자인·이모티콘 등 생활 밀착형 혁신도 논의된다. 행사장 체험존에서는 카나나 언어모델과 멀티모달 모델, 동영상 AI 등 서비스가 실제로 시연된다. 참가 신청은 9월 8일까지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으로 접수 받고, 기조세션은 온라인 생중계로도 공개된다.
해외 주요 ICT 기업들은 이미 오픈AI, 구글 등과의 기술 협력을 강화하며 챗GPT, 맞춤형 AI 서비스 경쟁을 본격화하고 있다. 카카오의 이번 행보는 글로벌 빅테크 대비 자체 모델 및 협업전략 양면에서 주목받는다. 국내외 규제 측면에서도, AI 서비스가 대국민 플랫폼에 본격 적용될 때 개인정보 보호, AI 윤리 대책, 알고리즘 투명성 등의 이슈 대응이 필수로 꼽힌다.
전문가들은 빅테크의 AI 경쟁이 사회 전반의 일상 경험을 바꿀 수 있는 ‘진입점’에 이르렀다고 본다. 한 AI 정책 전문가는 “카카오처럼 자체 언어모델 개발부터 서비스 대중화까지 이루는 주체가 등장한 것은 산업 변화의 촉매가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산업계는 카카오의 기술 혁신과 협업 프로젝트가 실질적인 서비스 혁신과 시장 환경 변화로 이어질지 예의 주시하고 있다. 기술과 서비스의 속도, 그리고 데이터 윤리·산업 구조 개편의 조화가 AI 대중화의 새로운 기준이 된다는 평가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