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PNG

ºC

logo
logo
“국회 전면 보이콧 검토”…국민의힘, 민주당 압박에 극한 투쟁 수위로 전환
정치

“국회 전면 보이콧 검토”…국민의힘, 민주당 압박에 극한 투쟁 수위로 전환

이예림 기자
입력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의 대립이 극한으로 치닫고 있다.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가 취임 직후 반정부 투쟁 기조를 공식화한 가운데, 자당 추천 인권위원 부결 사태와 권성동 의원에 대한 검찰의 구속영장 청구가 맞물리며 긴장감이 고조됐다. 국민의힘은 9월 정기국회를 앞두고 국회 전면 보이콧을 이어가며 대여 압박 수위를 높이는 동시에 장외투쟁 카드까지 만지작거리고 있다.

 

앞서 국민의힘은 더불어민주당이 압도적 의석을 바탕으로 인권위원 선출을 부결시키자 곧바로 국회 일정을 중단했다. 대여 전열을 재정비하며 민주당에 강력한 경고 메시지를 보냈다. 당 내부에서는 최근 이재명 대통령이 제안한 회동에 대해서도 "실질적 변화를 동반하지 않는 만남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원칙론으로 맞서고 있다. 한 핵심 당직자는 "영수회담 수준이 아니더라도, 의제 설정 등 실무적 절차가 반드시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원내에서는 민주당이 추진하는 3대 특검법 개정안과 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을 위한 정부조직법 개정 저지가 우선 과제로 제시됐다. 국민의힘은 민주당 특검법 개정 추진이 자당 인사를 겨냥한 정치공세라는 판단 아래, 강경 노선을 밟을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권성동 의원에 대한 검찰의 구속영장 청구도 당내 강경 기류를 가속화한 배경으로 꼽힌다. 권 의원이 의원 불체포 특권 포기 입장을 밝히자, 국민의힘은 "민주당과 다르다는 점을 국민께 보여주자"며 특검 수사의 야당 탄압 프레임으로 역공을 노리고 있다. 실제로 당은 특검 반대 논리를 극대화하기 위해 법사위 간사에 나경원 의원을 배치하며 역량을 집중시키는 모습이다.

 

정기국회 보이콧 지속 여부를 두고는 내부 논의가 이어진다. 일부 의원들은 정기국회 개원식은 물론 인사청문회까지 불참하고, 거리 투쟁으로 압박 수위를 높여야 한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그러나 사회부총리와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 등 현안 논란을 고려하면, 국회 보이콧이 오히려 실익을 잃는 결과가 될 수 있다는 신중론도 만만치 않다. 특히 민주당이 과반 의석을 바탕으로 단독 국회 운영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야당이 협상 공간마저 상실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에 여야의 강 대 강 대치가 장기화될 경우 9월 국회 파행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정치권은 상대 당의 책임론을 부각하며 정면 충돌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국민의힘은 향후 정기국회에서 투쟁 수위를 탄력적으로 조정할 계획이다.

이예림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국민의힘#장동혁#권성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