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윤 정치검찰이 내란의 뿌리”…더불어민주당, 대장동 항소 포기 사태 공격
대장동 사건 항소 포기를 둘러싸고 여야가 정면 충돌했다. 더불어민주당은 검찰 내부의 집단 반발을 “친윤(윤석열)계 정치검찰의 항명”이라며 강하게 비판하며, 국정조사와 청문회, 상설특검 등 해법을 두고 본격적 대응에 나섰다. 이에 맞서 국민의힘은 ‘윗선 개입’ 의혹을 제기하며 검찰 외압 문제를 쟁점화, 정국 긴장감이 고조됐다.
더불어민주당은 11일 검찰의 대장동 항소 포기 사태를 “정치 검찰의 실체가 드러난 사건”으로 규정하고 긴급히 대응 수위를 높였다. 조승래 사무총장은 SNS를 통해 “내란의 뿌리는, 국민의힘의 본진은 친윤 정치검찰”이라고 날을 세운 뒤, “검찰의 항명 신호에 일사불란하게 움직이는 국민의힘은 파블로프의 개 같다”고 직격했다.

박주민 의원 역시 라디오 인터뷰에서 “대장동 사건은 정치적 목적 아래 무리하게 진행된 조작 수사·기소였음에도, 검찰은 반성은커녕 집단행동에 나서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윗선 개입을 주장하려면 구체적인 지시와 의도를 밝혀야 한다”고 지적하며, 정성호 법무부 장관 역시 “가벼운 의견만 전달했을 뿐, 외압 정황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서영교 의원도 “검찰 자신들이 한 짓을 돌아봐야 할 때이지 집단행동은 있을 수 없다. 이것은 검란”이라고 표현하며 검찰을 강하게 질타했다. 이어 “기존에도 무리한 수사와 조작·기소로 정적을 제거해온 전례가 많았기에 검찰개혁이 추진됐다. 그런데도 버릇을 버리지 못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민주당 지도부 내부에선 이번 사태의 실체를 국회 차원에서 규명해야 한다는 기류가 강하다. 다만 구체적 방법론을 두고는 의견이 엇갈렸다. 한 핵심 관계자는 “법사위에서 청문회부터 할 수 있다”며 “필요하다면 국정조사까지 검토해야 할 사안”이라고 했다. 반면, “특검은 재판 중인 사건에 대해서는 원천적으로 어렵다”는 현실론도 제기됐다. 또 다른 관계자는 “청문회나 현안질의로 충분하며, 이미 사실관계가 드러나 있어 국정조사로까지 확대할 사안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여야 모두 국정조사 필요성에 대한 해석이 엇갈리면서 향후 정국의 진로가 불투명해졌다. 민주당은 정치 검찰 규명 의지를 거듭 천명하며, 실효성 있는 국회 차원의 진상 규명 방안을 놓고 고심을 이어가고 있다.
이날 국회는 대장동 사건 항소 포기와 검찰 집단행동을 둘러싼 날 선 공방을 벌였으며, 정치권의 책임 공방이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