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두 국가론 반대”…김천식 통일연구원장, 정부 정책 비판하며 사임
정치적 충돌 지점이 분명해졌다. 김천식 통일연구원장이 정부의 통일정책 노선을 정면으로 비판하며 임기를 8개월여 남기고 전격 사임했다. 통일문제를 둘러싼 정책 노선과 학자적 소신이 맞붙으며 정치권 안팎의 파장이 확산되고 있다.
통일연구원은 11일 “이한주 경제인문사회연구원 이사장이 김천식 원장의 사표를 수리했다”고 전했다. 김 원장은 이날 연구원 내부망에 “개인적인 신념이 정부의 통일정책 방향과 달라 원장직을 더 이상 수행할 수 없다”고 사임 배경을 밝혔다.

김 원장은 구체적으로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남북한 두 국가론을 주장하면서 영구분단으로 정책을 전환하려는 것에 대해 반박하지 않을 수 없었다”며, “(정부의 남북 분단 정책 전환은) 반민족, 반역사적이며 헌법에 위반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처럼 남북관계를 바라보는 정책 라인 내부의 갈등이 수면 위로 드러났다.
이명박 정부에서 통일부 차관을 지낸 김천식 원장은 2023년 7월 통일연구원장에 임명됐으며, 임기는 내년 7월 19일까지였다. 다만 현승수 부원장이 직무대행을 맡아 통일연구원 업무 연속을 이어갈 예정이다. 한편, 정부의 통일정책 노선을 두고 내부 비판이 공개적으로 표출된 상황에 대해 정치권에서는 “정책 일관성 유지가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과 “다양한 목소리가 반영돼야 한다”는 주장이 교차하고 있다.
정치권은 이번 사퇴로 향후 통일정책 방향성과 연구기관의 독립성 문제를 둘러싼 논쟁이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정부는 통일정책 기조를 유지하겠다는 입장인 반면, 비판적 시각은 더욱 거세질 조짐을 보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