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PNG

ºC

logo
logo
“영수회담, 식사·덕담 아닌 실질 협의 돼야”…장동혁, 이재명 대통령과 일대일 회동 원칙 강조
정치

“영수회담, 식사·덕담 아닌 실질 협의 돼야”…장동혁, 이재명 대통령과 일대일 회동 원칙 강조

허예린 기자
입력

정치적 대화의 장을 둘러싸고 여야 수장 간 셈법이 분명해졌다.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는 28일 이재명 대통령과의 회동 가능성을 두고 "정식 제안이 오면 검토하겠다"며, 형식과 의제의 사전 협의가 필요함을 강조했다. 정부와 제1야당 사이 대화가 실질적 의제 논의로 이어질지가 다시 정치권의 주요 쟁점으로 떠올랐다.

 

장동혁 대표는 이날 인천공항공사 항공교육원에서 열린 국민의힘 연찬회 직전 기자회견에서 "아직 공식적으로 제안받은 바 없다"고 운을 뗐다. 이어 "여러 사람이 모여 앉아 식사하고 덕담을 나누는 것이라면 영수회담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하며, 단순 상견례 수준의 회동에는 부정적 입장을 내비쳤다.

또한 장 대표는 "정식 제안이 온다면 어떤 형식으로 어떤 의제를 가지고 회담할지 서로 협의한 뒤, 영수회담에 응할 것인지 결정하겠다"고 공개적으로 밝혔다. 이는 이재명 대통령이 여야 지도부와의 확대 회동보다는 제1야당 대표와의 일대일 실질 대화를 원한다는 의중을 공식화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회담의 실효성 문제도 제기됐다. 장동혁 대표는 최근 종료된 한미정상회담을 언급하며 "우리는 공식적으로 확인된 내용을 알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막연히 일방적으로 홍보하는 자리가 아니라, 한미회담에 대해 정확하게 어떤 합의가 있었고 무엇을 주고받았는지 분명한 설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야당의 제안을 일정 부분이라도 수용할 수 있는 자세가 돼 있어야만 영수회담이 의미가 있다"고 밝히며, "제1야당 대표와의 영수회담이라면 그에 맞는 형식과 절차가 반드시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치권은 여권이 이재명 대통령과의 회동 주체를 넓혀가려는 가운데, 야당이 실질적 논의 없는 확장형 만남엔 응하지 않겠다는 신호를 보냈다고 해석했다. 회동 방식과 실질적 논의 여부가 논란의 중심에 서면서, 향후 영수회담 실현과 정치 현안 논의의 진전 여부에 관심이 모인다.  

정부와 제1야당은 대화의 형식과 의제를 놓고 계속 조율을 이어갈 전망이다.

허예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장동혁#이재명대통령#영수회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