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데이터센터 전력공백, 2035년까지 해법 모색”…정부, 인프라 대책 총력
2030~2035년 사이 인공지능(AI) 개발에 필수적인 데이터센터 전력공급에 위기가 닥치고 있다. 정부는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핵심 인프라인 데이터센터 대규모 구축이 본격화되는 시기와 전력수급 공백이 겹칠 것이란 우려 속에, 해법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전력인프라가 AI 산업 발전의 제약 요인으로 부상하면서, 정책·기술·산업계의 긴밀한 협력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업계는 “이번 논의야말로 AI 성장 경쟁의 결정적 분기점”이라고 평가한다.
이날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 자리에서 AI 데이터센터 인프라의 전력공급 부족 문제를 공식 인정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2029년까지 국내에 700개가 넘는 데이터센터가 필요하며, 이에 따른 전력 수요는 최대 약 5만MW(메가와트)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반면, 현재 공급 가능한 전력은 전체 필요량의 0.3% 수준인 150MW에 그치고 있다. 이는 대형 AI 데이터센터를 안정적으로 가동할 수 있는 조건이 사실상 마련되지 않았다는 뜻이다.

AI 연산에 필수적인 GPU(그래픽처리장치) 서버의 경우, 현행 전력수급계획 산정 시 2030년 초입까지는 수요를 충당할 수 있는 것으로 예측된다. 하지만 2030년 이후부터 2035년까지, 상용 원전(原電)의 추가 가동시점(2036년)과 소형모듈원전(SMR) 상용화 목표(2035년) 사이에는 명확한 전력공급 공백이 발생한다. 특히 AI 고성능 연산 클러스터, 초대형 데이터센터를 필요로 하는 국가 산업 전략에서 이 5년간의 ‘블랙박스’는 결정적 리스크로 꼽힌다.
업계와 정치권에서는 재생에너지 확대, 송배전 효율화, 에너지 믹스 전환만으로 AI 데이터센터의 수요를 소화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데이터센터는 시스템 다운타임 리스크 관리상, 전력공급이 연속적이고 대용량으로 안정돼야 하기 때문이다. 미국, 유럽 등 주요국 역시 데이터센터 집중 지역 내 전력공급 불균형 문제를 선제적 전력망·원전 확충 등으로 풀고 있는 추세다.
정부는 기후에너지환경부 등 관계부처와의 협업을 강화, 전력인프라 확충 예산과 정책 조율에 나서고 있다. SMR 등 차세대 원전 기술, 에너지 집약적 AI 데이터센터의 전용 공급선 마련 등도 주요 과제로 논의 중이다. 다만, 전력 정책은 발전소 건설-운영까지 수년에 걸치는 중장기 과제가 많아, AI 산업 성장곡선과의 속도 ‘미스매치’도 난제로 거론된다.
전문가들은 “AI 인프라의 글로벌 경쟁은 전력 리스크 관리 능력이 관건이 될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 산업계는 데이터센터와 전력공급 간 정합성 확보가 실제 빅테크 산업 성장의 전제조건임을 재확인하고 있다. 기술과 정책, 인프라와 산업 간 균형이 AI 강국 도약의 필수 조건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