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APEC 정상회의 본회의 불참 가능성”…조현 외교부 장관, 한미·한중·미중 회담 ‘경주 개최’ 시사
트럼프 미국 대통령 방한을 둘러싸고 외교 일정이 요동치고 있다. 조현 외교부 장관이 13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 참석 여부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내놓으면서 한미 및 한중, 미중 회담 개최지에도 관심이 집중됐다.
조현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에 오는 것이냐”는 질의에 “그렇다”고 답한 뒤, “정상회의는 참석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29일부터 1박 2일 일정으로 방한을 조율 중이지만, 31일부터 이틀간 열리는 APEC 정상회의 본회의에는 불참할 것이란 뜻을 분명히 한 것이다. 다만 조 장관은 “APEC 정상회의 주간의 일부 행사, 최고경영자 서밋 등에는 참석할 수 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공식 약속 일정 밖 실무 및 약식 정상회담이 거론되는 가운데, 한미 정상회담의 진행 여부를 묻는 국민의힘 김기현 의원 질의에 조현 장관은 “그렇다”고 밝혔으며, 회담 장소와 관련해서는 “아마도 경주가 될 것 같다”고 덧붙였다. 이어 정상회담이 약식으로 치러질 가능성에 대해서는 “그렇지는 않다”고 선을 그었다.
한편 조현 장관은 한미에 이어 “한중 정상회담, 미중 정상회담도 모두 경주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오는 10월 말에서 11월 초 사이 경주가 아시아 주요 외교의 장이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야당은 “트럼프 대통령이 본회의에 참석하지 않는 것은 동아시아 외교 구상의 위축으로 비칠 수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여당은 “다각적인 정상회담 유치와 경주 개최가 지역 경제와 외교력 강화로 이어질 것”이라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외교가에서는 APEC 본회의 불참에도 불구하고, 별도 한미 정상회담과 한중, 미중 연쇄 회동이 한반도 정세와 미중관계 등 동북아 구도에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이처럼 트럼프 대통령의 일정 변경과 정상외교 무대의 ‘경주 집중’ 구상은 향후 국내외 정세와 외교 라인의 전략적 재배치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정부는 한미 및 한중, 미중 정상회담의 구체적 일정과 형식 조율이 마무리되는 대로 세부 계획을 확정할 방침이다.